KDI "국내 요인 따른 환율 상승은 장기적 고물가 우려"
올해 1분기 원·달러 환율 상승이 국내 소비자물가를 0.47%포인트(p) 끌어올렸다는 국책 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다만 환율이 1,500원까지 오르더라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2%)를 훌쩍 넘길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제시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9일 '최근의 환율 변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KDI는 보고서에서 환율 상승 요인을 ▷미 달러화 강세 ▷국내 요인(정치 불안, 대외신인도 하락 등)으로 구분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따로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달러화 강세로 환율이 1%p 상승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해당 분기에 0.04%p, 1년 누적 0.07%p 오른다. 반면 국내 요인으로 환율이 1%p 상승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동 분기 0.04%p, 1년 누적으로 0.13%p 상승해 파급력이 약 두 배에 달했다.
김준형 KDI 연구위원은 "달러화 요인에 따른 환율 상승은 수입품의 달러 가격 조정으로 영향이 점차 축소될 수 있지만, 국내 요인에 따른 환율 상승은 교역국 통화 대비 원화 가치 전반을 떨어뜨려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물가 상승 압력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올해 1분기 환율 변동이 소비자물가를 0.47%p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국내 요인이 유지되는 가운데 달러화 강세 영향이 확대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KDI는 또 환율이 현재 수준(1분기 평균 1,452.7원)을 유지할 경우 3분기까지 물가 영향이 이어지다 4분기부터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오르면 1분기 대비 최대 0.24%p 추가 상승, 환율이 1,400원으로 하락하면 0.44%p 물가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1% 수준이며 수요 압력이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 환율이 1,500원 부근까지 상승해도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를 크게 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환율 상승이 장기화하거나 국내 요인에 따른 환율 변동이 확대될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으므로 환율 추이와 원인별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국힘 지지층·무당층' 선택은? 김문수 29.2% 홍준표 21.4% 한동훈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