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긴 재산 고작 100달러…마지막까지 청빈한 삶 이어간 교황

입력 2025-04-23 12:57:22 수정 2025-04-23 12:59:54

'가난 서약'…교황 즉위 후 무보수로 봉사

23일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마련된 프란치스코 교황 빈소를 찾은 추모객들이 조문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 지하성당에 마련된 프란치스코 교황 빈소를 찾은 추모객들이 조문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2014년 방한 당시 한국 소형 차량으로 이동하며 시민들에게 인사하는 교황 모습. 연합뉴스
2014년 방한 당시 한국 소형 차량으로 이동하며 시민들에게 인사하는 교황 모습. 연합뉴스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하고 평생 청빈한 삶을 이어간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 후 남긴 재산은 100달러(14만원) 남짓에 불과했다.

아르헨티나 매체 암비토는 유명인 순자산(셀레브리티 넷워스) 전문 사이트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교황은 2013년 3월 즉위 후 교황청에서 월급을 받지 않고 무보수로 봉사해왔다. 이는 그가 예수회 출신 성직자로서 평생 청빈한 삶을 이어가겠다고 '가난 서약'을 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추기경의 월급은 4천700달러(671만원)에서 5천900달러(843만원)로 알려져있다.

그의 검박하고 청빈한 정신은 교황명을 '프란치스코'라고 지은 것에서도 드러난다. 프란치스코(1181∼1226)는 이탈리아 아시시 출신으로, '가난한 자들의 성자'라고 불리는 성인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임 교황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한 바오로, 요한 혹은 베네딕토 등의 교황명을 사용하지 않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잊지 않기 위해 최초로 프란치스코란 교황명을 택했다고 밝힌 바 있다.

1936년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난 교황은 즉위 전까지 고향인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빈민촌에서 가장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위해 헌신해왔다.

2001년 추기경에 서임된 후에도 작은 아파트에서 살며, 추기경에게 배정된 고급 승용차가 아닌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했다.

교황에 즉위한 후에도 그는 화려한 바티칸 내 교황 전용 숙소를 마다하고 교황청 사제들의 기숙사인 '성녀 마르타의 집'에서 거주했다. 또한 교황의 상징인 금 십자가 대신 낡은 십자가를 착용했으며, 교황의 상징인 화려한 빨간 구두 대신 평범한 검은색 구두를 신었다.

2014년 방한 당시에도 교황은 국빈용 고급 의전차량 대신 기아의 소형 SUV '소울' 차량을 이용했고 철제 십자가와 낡은 구두, 오래된 가방을 착용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