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룰 파동' 일단 봉합…'어대명' 경선 시작부터 삐걱

입력 2025-04-15 18:08:11 수정 2025-04-15 21:42:04

이재명 대세론 속 김동연·김경수 도전장…어대명 기류 속 흥행 적신호
'당원 50%, 여조 50%' 방식…비명계 "사실상 추대", 김두관 출마 포기
김동연 "국민경선 전통 원칙 깨진 것 안타까워…당당하게 경선 임할 것"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이 진행된 국회 본회의에서 김민석 최고위원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이 진행된 국회 본회의에서 김민석 최고위원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경선룰을 놓고 비이재명(비명)계와의 갈등 끝에 어렵사리 봉합에 성공했지만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 우려 속 시작부터 삐걱대고 있다.

15일 민주당 내 대권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와 김동연 경기지사, 김동연 전 경남지사는 경선 후보 등록을 시작으로 약 2주간 선거전에 돌입했다.

정치권에서는 후보 등록 직전까지도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경선룰에 대한 비명계의 반발이 나오고, 김두관 전 의원은 경선 포기까지 선언하는 등 내분 위기에 경선을 시작하기도 전부터 흥행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다.

다만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당에서 결정한 경선룰 수용 의사를 밝히면서 이재명 전 대표 나 홀로 출마하는 상황은 피하게 됐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후보 등록 직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경선 전통 원칙이 깨진 것에 대해 민주당원으로서 안타깝지만 이제는 정해진 규칙하에 당당하게 경선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선거인단 투표 시 역선택 우려가 있는 만큼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선거룰을 개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입장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국면으로 집결한 극우 성향 유권자가 선거인단에 참여해 조직적 역선택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선룰 여파에 결과적으로 당초 두 자릿수에 가깝게 거론되던 주자 중 후보 등록 마친 이는 최종 3명에 그쳤고, 일방적 의결로 친이재명계 독선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이 전 대표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어대명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선 판도가 기울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많은 당원 동지 여러분이 이번 경선 흥행의 빨간불을 걱정한다"며 "반드시 파란불을 켜겠다"고 답했다.

여러 악재가 맞물려 경선 흥행 저조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 전 대표는 '일극 체제'라는 비판 속 선거 동력을 본선까지 이어가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탄핵 국면 이후 열리는 조기 대선인 만큼 경선 이후에는 비상계엄에 반대한 범야권 통합에도 나서야 하지만 조국혁신당이 등이 주장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참여경선) 제안도 민주당에서 거절한 상태다.

민주당 관계자는 "대선 경선룰을 바꾸는 데 내부 의견 수렴이나 후보 간 협의가 없었던 것은 정상적이진 않다"면서 "시간이 촉박했다고 해도 의지만 있었으면 충분히 가능했다. 어대명 기류가 가뜩이나 심한데 이런 식의 일방 진행은 경선 흥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