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당시 보수 지지층 민심 이반 우려…친윤은 중도층 포섭 한계
국민의힘 대권 잠룡들이 대거 경선 열차에 올라타면서 '1호 당원'인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이 변수로 떠올랐다. 경선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 지지층을 무시할 수 없는 한편, 친윤을 앞세우기엔 중도층 포섭에 부담이 되는 때문에 주자들의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앞으로 15명 안팎의 후보가 경선에 뛰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국민의힘으로선 탄핵 대선 책임을 피해 가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을 찬성했던 후보들은 거리 두기를 강점으로 내세운다. 안철수 의원은 출마 선언에서 "계엄은 잘못된 것"이라고 밝혔고, 출마 선언을 앞둔 한동훈 전 대표·오세훈 서울시장도 차별화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윤 전 대통령을 옹호했던 후보들은 정치적 결별 여부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당장 더불어민주당이 '1호 당원'인 윤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을 한꺼번에 겨냥해 내란세력 공세를 취하고 있는 데다, 본선에서 중도층 외연 확장도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선까지는 윤 전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다. 윤 전 대통령 출당조치 등을 주장할 경우 강성 보수 당원들의 민심 이반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일부 후보 사이에선 '비판적 친윤'으로 입장을 정하는 기류도 감지된다. 출마 선언을 앞둔 홍준표 대구시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한동훈 두 용병에 대한 탄핵"이라며 "나는 탄핵에 대한 책임이 없다"고도 했다.
줄줄이 예고된 윤 전 대통령 형사재판이 악재가 될 수 있어 고심이 더욱 깊어질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정치평론가 김철현 경일대 특임교수는 "조기 대선 과정에서 가장 치명타가 될 요인은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리스크가 될 것이다. 리스크가 터지면 정치적 차별화를 두는 주자들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것"이라며 "당 지도부도 명확히 선을 그어주지 않는 상황에서 어떻게 관계를 재설정하느냐가 관건이고, 어느 주자부터 스타트를 끊느냐가 문제일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