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합동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발간
열대야 일수 평년보다 3.1배 많아
지난해 여름철 평균 온도가 1973년 이래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야 일수도 평년의 3배 이상 많았다.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1일 기상청,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25개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2024년 이상 기후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지난해 발생한 이상고온, 대설 등 이상기후 현상과 분야별 피해 현황, 향후 대책이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평년 대비 1.9℃ 높은 25.6℃(도)로, 1973년 이래 역대 1위를 기록했다. 열대야 일수도 20.2일로 평년의 3.1배에 달하며 역대 1위에 올랐다. 여름철 더위가 9월까지 이어지며 9월 평균기온도 역대 1위(24.7℃)를 기록했다. 많은 폭염일수인 6.0일(평년 0.2일)과 열대야 일수인 4.3일(평년 0.1일)이 나타났다.
역대급 폭염은 온열질환자 폭증과 농업 분야 피해로 이어졌다. 지난해 여름 온열질환자는 모두 3천704명으로 전년(2천818명) 대비 31.4% 증가했다. 7~9월 불볕더위와 고온 현상으로 인해 인삼 등 농작물 재배면적 3천477㏊ 피해와 벼멸구 피해 1만7천732㏊가 기록됐다.
해수면 온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주변 해역 관측 값 기반 해수면 온도(17.8℃)가 최근 10년(2015~2024년) 중 1위를 기록한 것. 이상 고수온 발생 일수(182.1일) 역시 최근 10년 평균(50.4일) 대비 3.6배 증가했다. 인천, 경기, 전북을 제외한 대부분 해역에서 여름철 고수온으로 1천430억원 규모 양식생물 폐사 피해가 발생했다. 이는 2023년 438억원, 2022년 17억원의 피해액이 발생한 것과 비교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장마철 강수량도 전국 474.8㎜로 평년(356.7㎜)보다 많은 역대 11위를 기록했다. 특히 장마철 강수는 좁은 영역에서 강하게 내리는 특징을 보였는데, 1시간 최다강수량이 100㎜를 넘는 사례가 9개 지점에서 관측됐다. 호우 탓에 농경지 유실·매몰, 농작물 및 가축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7월에 발생한 호우로 농작물 피해 9천447㏊, 농경지 유실·매몰 891㏊, 가축 피해 102.2만마리, 전체 산사태 피해의 95%(167㏊)가 발생했다.
11월 하순에는 높은 해수면 온도와 낮은 대기 온도 간 차이 탓에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이례적인 대설도 내렸다. 특히 서울, 인천, 수원 세 지점에서 11월 하루 중 최대 적설량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2천397㏊의 농업시설, 476㏊의 농작물, 129㏊의 축산시설, 102만마리의 가축 피해와 임산물 재배시설 붕괴 등이 발생했다.
김종률 탄녹위 사무차장은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더욱 깊이 인식하고 미래세대를 위해 범부처와 민간이 협력해 기후 대응을 위한 새로운 과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한편,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2050 탄소 중립을 달성하도록 과학적 분석과 정책적 실행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尹 탄핵심판 결론은 이미 나왔다…결정문 작성 매진
박지원 "탄핵 심판 5:3?…기각하면 제2의 이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