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한길 씨 "헌재, 尹 대통령 탄핵 심판 '각하'해야…민주당, 내란죄 덮어씌운 것"
장동혁 "尹 구속 취소, 韓 법치주의 간신히 인공호흡기 달아…탄핵 각하로 살려야"
2030 참석자들, 야당에 대한 강한 반감 드러내…헌재 탄핵 심판 절차 비판도
대검(대검찰청)이 8일 법원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에 대해 항고를 포기하고 석방 지휘를 지시하면서 서울 여의도 일대서 열린 탄핵 반대 집회에서 환호가 터져 나왔다. 지지자들은 향후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도 각하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한껏 드러냈다.
개신교계 보수단체 세이브코리아는 이날 오후 12시 무렵부터 여의대로 일대에서 탄반 집회를 개최했다. 주최 측 추산 10만 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4시까지 기도회와 역사 강사 전한길 씨 등이 참석하는 집회를 마친 후 다 같이 국회로 행진했다.
집회 참석자들은 '헌법정신을 수호하라, 헌법재판소 국민 편에 서라', '자유 민주주의 수호', '대한민국을 구해주세요', '더불어 탄핵당 해체' 피켓을 연신 흔들며 윤 대통령 석방을 외쳤다.
이날 연단에 오른 전한길 씨는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각하 어떤 결정을 하는 가에 따라서 대한민국이 주저앉을 수도 있다"며 "인용 하면 갈등이 극에 달하고 헌법재판관도 무사하지 못할 것이다. 무사하려면 국가도 무너지지 않고 국민 통합의 방법인 각하를 해야 한다"고 헌재를 압박했다.
그는 "박근혜 전 대통령도 탄핵감이 아닌데 여론이 원하니 탄핵했다"며 "국민들이 헌법재판관들한테 대통령을 복귀시키라 명령하는데 국민 요구를 묵살 할 수 있겠나. 윤 대통령은 반드시 각하될 것이고 최소한 기각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 씨는 또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진술 문제를 거론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이 윤 대통령을 끌어내리기 위해 내란죄를 덮어씌운 것"이라고 주장했다. 헌법학자인 허영 교수의 견해를 거론하며 헌재 심판 과정의 문제도 지적했다.

정치권에서는 판사 출신인 장동혁 국민의힘 의원(충남 서천보령)이 "법원의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으로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내란죄 수사권이 없을 뿐만 아니라 체포 구속과 내란죄 기소가 위법한 것이 확인됐다"고 비판했다.
장 의원은 "어제의 구속 취소로 공수처는 내란죄에 대한 수사권이 없다는 것이 확인됐다. 공수처가 만든 수사 기록은 이제 쓰레기로 바뀌었다"며 "그래서 그토록 서울중앙지방법원은 대통령에 대한 영장을 기각하고, 영장을 발부하면서도 반드시 형사소송법 110조를 따르라고 했던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이 취소됨으로써 대한민국의 법치주의는 간신히 인공호흡기를 달았다"며 "이제 탄핵 각하로 대한민국의 법치주의를 살려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최근 대권 행보를 하고 있거나 돕는 여권 인사들을 겨냥한 듯 "입으로 탄핵 기각을 말하면서 마음에 조기 대선을 품는 것 또한 위선일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날 집회에는 2030세대들도 다수 참여했다. 이들은 야당에 대한 반감과 헌재의 심판 과정에 대한 문제 등을 토로했다.
인천에서 온 이승석 씨(25)는 "일자리를 못 구해서 너무 많이 힘들었는데 모든 게 저 때문인 줄 알았다"며 "그런데 민주당이 청년 예산을 삭감시키고, 청년 일자리를 다 빼앗아 가는 등 그런 것들을 알게 됐고 화가 나서 나왔다"고 했다.
친구와 함께 참석한 김민수 씨(28)는 "비슷한 또래들도 많이 나오고 하니까 (탄핵 심판 문제가)심각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번 집회에 참석하게 됐다. 그게 제일 큰 이유"라고 설명했다.
경기도 하남시에서 어린 딸과 함께 참석한 30대 여성 나모 씨는 "(헌법재판소가)법의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것 때문에 나왔다"고 언급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전한길 "사전투표 규칙 개정해야…제2의 홍콩·베네수엘라로 몰락할 수도"
"7共" "체제전쟁" 국힘 경선 후보들 '反이재명' 한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