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북·중·러 위협에 文보다 훨씬 더 큰 기여"
모스 단(Morse Tan) 전 미 국제형사사법대사(트럼프1기)가 6일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되면 중국이 한국 정치에 더욱 깊이 개입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단 전 대사는 이날 오전 매일신문 유튜브 채널 '이동재의 뉴스캐비닛'에 출연해 "윤석열 대통령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중국의 정치적 개입이 더욱 커질 것이고, 그것은 대한민국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윤 대통령이 한미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한미일 삼각 협력에도 크게 기여했다"며 문재인 정부와의 차별점을 강조했다. 그는 "윤 대통령은 미국이 중국 공산당의 위협에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윤 대통령 직무 복귀 시 한미 동맹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단 전 대사는 윤 대통령에 대한 비상계엄 선포 자체가 합법적인 권한 행사라고 주장했다. 그는 "계엄을 내린 것이 권력 남용이라는 주장이 있지만, 저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본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헌법 77조에 따라 계엄 선포 후 지체없이 국회에 통고했고, 국회가 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계엄의 해제를 요구한 후 이를 해제했다는 것이다.
그는 국무위원에 대한 29번의 탄핵 시도를 한 야당의 행태에 대해서도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탄핵 남용"이라고 했다. 특히, 최재해 감사원장의 탄핵을 언급하며 "진실을 밝히려는 인물을 탄핵하는 것은 야당이 무언가를 숨기려 한다는 의심을 불러일으킨다"고 말했다.
단 전 대사는 "공수처의 윤 대통령 체포 과정에서 상당한 위법성이 있다"며 "인권 침해의 요소가 있다고 본다"고 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 대통령 통신 영장이 서울중앙지법에서 기각된 사실을 숨기고, 영장 발부가 쉬운 법원을 골라서 찾아다녔다는 이른바 '영장 쇼핑' 의혹을 꼬집은 것이다.
단 전 대사는 트럼프 1기 행정부에 발탁됐을 당시 북일리노이대(NIU) 법대 교수로 재직했다. 국제형사사법 대사는 국무장관 등 미 최고위직 인사에게 인권 문제에 관한 정책을 조언하는 요직이다. 그는 국제법 및 북한 전문가로 2015년 북한의 열악한 인권 실태를 폭로한 '북한, 국제법과 이중 위기'라는 저서로 주목을 받았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 조희대 탄핵 검토는 "당 판단 존중"
김문수 "당이 나를 공식 대선후보로 인정하지 않아" 유감 표명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