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여야 이견(異見)이 없는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부터 우선 처리하자고 촉구했다. 국회 특위를 구성해 '모수(母數)개혁'(보험료율·소득대체율 조정)과 구조개혁을 논의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보건복지위에서 모수개혁을 먼저 처리한 뒤 구조개혁을 논의하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루 885억원의 부채가 쌓이는 국민연금의 재정 상황을 감안하면, 개혁은 한시가 급하다.
여야는 현재 9%인 보험료율을 13%로 올리는 데는 공감(共感)하고 있다. 그러나 소득대체율에선 이견을 보이고 있다. 지난 21대 국회 막판에 여야가 현재 41.5%인 소득대체율을 44%로 끌어올리는 데 의견 접근을 봤지만, '더 내고 더 받는' 안에 대한 비판(批判)과 구조개혁을 함께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연금 개혁 논의는 중단됐다. 이후 국민의힘은 소득대체율 40%로 입장을 정리했다고 한다. 반면 민주당은 44%를 고집하고 있다.
국민연금이 지금처럼 운영되면 2041년에 적자로 바뀐다. 2056년에는 기금이 완전히 소진(消盡)된다. 국민의힘 주장대로 구조개혁도 중요하지만, 논의를 위해 마냥 시간을 끌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민주당이 주장하는 소득대체율은 미래 세대에 '폭탄'을 떠넘기는 결과를 초래한다.
'보험료율 13% 인상'부터 먼저 처리하자는 여당의 주장은 합리적이다. 오는 20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과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국정협의회 4자 회담을 개최한다. 통 큰 결단으로 민생(民生) 정치의 진정성을 보여 주길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기고-안종호]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공정성 담보해야
한동훈 '비상계엄' 다룬 책, 예약판매 시작 2시간 만에 댓글 600개 넘어
전한길 '尹 암살설' 주장…"헌재, 尹 파면 시 가루 돼 사라질 것"
국민의힘 49.0%·민주당 37.2%…"이재명 피선거권 상실형" 45.5%
이재명 '중도보수' 논란에 "DJ·文도 말했다…흑백만 있는 것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