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내려온다…연초 대출영업 확대·금리 경쟁 개막

입력 2025-02-02 18:30:00

국내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4.24%, 4개월 만에 하락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지난해 12월 4.26%로 ↓
"대출총량 관리 부담 벗어나면서 은행 대출 경쟁 활발"

시중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24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이 732조3천656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1조6천592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이 3조54억원(103조6천32억원→100조5천978억원)이나 감소했다. 사진은 2일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외벽에 붙은 대출 관련 안내문 모습. 연합뉴스
시중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24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이 732조3천656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1조6천592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이 3조54억원(103조6천32억원→100조5천978억원)이나 감소했다. 사진은 2일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외벽에 붙은 대출 관련 안내문 모습. 연합뉴스

은행권 대출금리가 내려오기 시작했다. 지난해 하반기 금융당국에 가계부채 관리 압박을 받아 온 은행들은 올해 가계대출 여력이 생긴 만큼 대출영업을 확대하면서 금리 인하 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2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국내은행 평균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4.24%로 집계됐다. 지난해 8월 3.70%에서 9월 3.84%, 10월 4.09%, 11월 4.27%로 오른 이후 4개월 만에 하락으로 돌아선 것이다.

전세대출 금리도 하락 전환했다. 은행권 평균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지난해 9월 4.08%에서 10월 4.29%, 11월 4.37%로 올랐다가 12월 4.26%로 내려왔다. 대출금리는 지표금리에 은행 업무 비용과 예상 손실, 자금 조달 금리 등을 반영한 가산금리를 더하고, 여기서 은행 전결인 가감조정금리(우대금리)를 빼 산출한다.

주택담보대출을 기준으로 은행권 평균 지표금리는 지난해 12월 3.06%로 전월 대비 0.19%포인트(p) 떨어졌고, 가산금리는 2.46%로 소폭(0.01%p) 낮아졌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 기준금리 인하에 돌입하면서 은행 대출금리의 지표금리가 되는 시장금리도 내림세를 보인 것이다.

은행들은 지난해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에도 가계부채 관리 강화를 이유로 가산금리를 조절해 가계대출 금리를 높여 왔다. 최근 들어서는 이를 다시 내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14일 가계대출 가산금리를 최대 0.3%p 낮췄고, 우리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주요 가계대출 상품 가산금리를 최대 0.29%p 내리기로 했다.

이는 대출영업을 확대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대출총량 관리 부담에서 벗어나는 연초마다 경쟁이 활발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지난달 22일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은행들이 기준금리가 떨어진 부분을 반영해야 할 시기"라고 밝히면서 공개 압박에 나선 점도 은행 금리 흐름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별 가계대출 성장률은 전년 대비 일정 수준으로 제한되는데, 해가 바뀌고 대출 잔액이 리셋(초기화)되면서 다시 대출을 내줄 수 있는 여력이 생겼다"면서 "현재 금리가 인하기에 있는 게 정설인 만큼 상대적으로 금리 수준이 높은 시기에 대출이자 수익을 남기려는 부분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