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제왕적 대통령제 걷어내야…비상계엄 사태 터진 이유"

입력 2025-02-01 07:27:43

"대통령에게 지나치게 집중된 권한 분산해야"
"내년 지방선거, 늦어도 차기 총선 때는 매듭 지어야"

김부겸, 윤석열. 연합뉴스
김부겸, 윤석열.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차기 대권 주자로 꼽히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대통령에게 지나치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31일 김 전 총리는 오후 MBN '뉴스와이드'에 출연해 "이르면 내년 지방선거, 늦어도 다음 총선 때는 매듭지어야 한다"며 "제왕적 대통령제를 걷어낼 때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김 전 총리는 "기본적으로 12·3 비상계엄 사태가 생긴 가장 큰 이유는 대통령 한 사람에게 계엄령이라는 막강한 권한을 줬기 때문"이라고 "이런 고통을 치르고도 합의가 안 되면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유력 후보자들이 후보가 되면 국민들이 (개헌을) 요구해야 한다"며 "이렇게까지 공동체가 흔들렸는데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고 하는데 어떤 대안을 가졌는지 물어야 하는 것 아닌가. 주요 방향과 시기까지 국민이 요구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큰 방향과 내용과 시기 정도는 국민이 요구할 권한이 있다"며 "이렇게까지 어려움과 혼란을 국민이 묵묵히 지고 있지 않나. 여기에 대해 정치인이 답할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문재인 전 대통령이 전날 이재명 대표에게 말한 '통합' 메시지에 대해서는 "당내 주자들이 각자 비전을 가지고 호소하는 것이 당에 도움 된다"며 "그런 목소리를 억지로 누르는 것은 안 하는 게 좋겠다는 취지로 말씀하신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설 연휴 기간 김 전 총리와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통화한 것을 두고는 "정초니까 안부 인사, 덕담한 것"이라며 "김 전 지사가 개헌 논의에도 열심히 하겠다는 취지로 얘기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총리는 최근 침체된 민주당 지지율에 대해서도 의견을 냈다.

그는 지지율을 두고 한덕수 전 국무총리 탄핵 상황을 언급하며 "탄핵 이후 국정이 혼란스럽고 국민이 불안할 때 민주당이 원내 다수당으로서 성숙하고 여유롭게 국정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였더라면 지금보다는 더 강한 지지를 받지 않았을까 아쉬움이 남는다"고 밝혔다.

'민주당 내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는 "국민들이 비판하는 부분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지난 29일 이재명 대표를 향해 "지선과 총선 과정에서 치욕스럽게 당을 떠난 분들에게 사과하고 돌아올 수 있게 해야 한다"고 한 것에 대해 "말을 좀 독하게 하긴 했지만 민주당 내에서 그런 이야기들이 나오는 것 자체는 자연스럽다"고 평가했다.

이어 "(친명계 의원들도) 그에 대해 반격할 수는 있겠지만 그런 과정들이 물 흐르듯이 편안하게 이뤄지는 게 오히려 민주당의 경쟁력이나 신뢰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며 "결국 민주당 생명인 다양성, 민주성에서 다 녹여낼 수 있는 문제다. 옆에서 너무 분열로 보는 건 지나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