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안전, 건강, 생활 4개 분야 60개 과제
부산시가 '2024년 동절기 민생안정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3일 시에 따르면 이번 대책은 시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종합적인 지원 방안 마련에 중점을 두고 복지, 안전, 건강, 생활 등 4개 분야, 34개 주요과제, 60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를 적극 발굴하고 취약계층의 촘촘한 생활안정 지원을 통해 겨울철 공동체 안전망 구축에 나선다.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행복이(e)음 기반 위기 정보를 확대(44종→47종)하고 정보통신·인공지능기술을 연계한 초기상담과 찾아가는 보건복지전담팀(197팀) 등 인적자원을 적극 활용한다.
위기가구의 생활안정을 위해 긴급복지 대상 1인 가구 기준 생계비(71만3천원), 주거비(39만8천원), 연료비(15만원), 의료비(300만원 이내) 등을 지급한다.
저소득,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에너지바우처(세대 평균 31만4천원), 월동대책비(6천가구, 10만원) 등을 지원하며 노숙인과 쪽방 주민 등 한파 취약계층을 위해 응급 잠자리 제공, 난방용품 배부 등 상시 보호체계를 운영한다.
'희망2025 나눔캠페인' 등 민간 모금을 지원하고 노인·장애인·노숙인 무료급식과 김장비 지원 등 따뜻한 나눔 분위기 확산에도 힘쓴다.
시는 대설·한파·산불 등 겨울철 자연재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화재·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사전 점검 등 시민 안전 확보에 전력을 기울인다.
대설·한파 대비 체계 구축을 위해 시 재난관리기금 등 총 5억9천200만원을 구·군에 교부했고 제설제(1cjs77t), 제설장비(346대), 적사함(4천342곳) 등을 확보했다.
실제 위험 기상 시 선제적 상황판단회의를 추진하고 위기 단계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신속한 제설 추진 등 상황 대응에 나선다.
산불 예방을 위해 산불감시원(621명) 배치, 산불장비(3만6천538점) 사전확보로 진화 체계 구축, 산불방지 대책본부를 운영한다.
다중이용시설, 화재취약시설, 건설 현장 등에 대한 철저한 안전 점검으로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제거하고 안전사고 방지에 힘쓴다.
건강 취약계층의 한랭질환 예방을 위해 시는 방문건강관리 전담팀(16팀, 133명)과 건강지킴이(1천223명)를 운영하고 차상위 계층 등을 대상으로 차렵이불, 목도리 등 한파 대응 물품 지원(140가구)과 단열커튼 설치(13가구) 등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시는 65세 이상 노인 예방 접종률 제고, 감염취약시설(748곳) 상시 대응체계 유지 등 감염병 집중관리에 나선다.
김장철과 연말연시에 대비해 식품위생 점검과 식중독 예방관리를 강화하고 내년 3월까지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제6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한다.
농·수산물 수급과 가격안정을 위해 김장채소 수급안정 대책반(3팀, 15명)과 수산물 물가안정 대책반(16개 구·군, 4반)을 운영해 농·수산물 수급 상황과 물가를 모니터링한다.
이 밖에도 동절기 폐기물 처리 대책, 상·하수도 관리 대책을 수립해 겨울철에 발생할 수 있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민원에 신속히 대응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동절기 민생안정 종합대책을 통해 한파 취약계층의 안전망을 강화하고 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으로 해, 시민 모두가 따뜻하고 안전한 일상을 보내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