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군, 예산 부담 덜고 민간 거래로 빈집 해결… "경제 활성화까지"

입력 2025-04-24 15:24:23 수정 2025-04-24 16:46:34

경북 최초 '농촌 빈집 거래 활성화 지원사업' 추진… 공인중개사 통해 자율적 거래 유도
빈집 813호, 군 단위 두 번째… 민간 플랫폼 활용해 방치된 자산 되살린다

예천군 유천면에 한 빈집을 주민이 바라보고 있다. 윤영민 기자
예천군 유천면에 한 빈집을 주민이 바라보고 있다. 윤영민 기자

경북 예천군이 지자체가 대신 부담을 떠안았던 농촌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 거래 방식을 도입한다.

예천군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 빈집 거래 활성화 지원을 바탕으로 지역 공인중개사를 모집해 빈집 매물화와 민간 플랫폼 등록을 지원하며, 거래 절차 체계화에 나선다. 또한, 기존 우편 안내 대신 문자·웹 기반 시스템을 도입해 효율적인 거래 정보를 제공한다.

그동안 경북 도내 각 시군을 비롯해 지자체들은 빈집을 활용해 귀농귀촌인 임시 주거지 제공, 문화예술 공간 조성, 체류형 관광시설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청도군과 칠곡군은 숙박시설, 안동시와 상주시는 예술인 등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 다수 지자체들이 빈집 리모델링해 귀농귀촌인 유입을 위한 임대주택 등으로 탈바꿈한 게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들 사업은 대부분 지속적인 예산 투입이 필요한 데다 여전히 많은 빈집을 지자체 예산 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지적돼 왔다. 게다가 빈집 소유주와도 매매 등의 문제로 사업이 불발되는 경우도 적잖았다.

한국부동산원 빈집 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경북 도내 빈집은 총 1만5천589호다. 시 단위에서는 포항시가 1천378호, 군 단위에서는 의성군이 1천636호로 빈집이 가장 많다. 예천군은 군 단위에서 의성군 다음으로 많은 813호로 파악됐다.

이에 예천군은 이번 사업을 통해 빈집 소유자와 수요자 간 거래를 활성화함으로써, 방치된 빈집을 민간 자산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전환하고 지역 인구 유입과 경제 활성화 효과를 동시에 노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다음 달 8일까지 빈집 매물화를 담당할 지역 공인중개사를 모집한다. 신청 대상은 예천군 내 중개사무소를 두고 최근 1년 이내 거래 실적이 있는 공인중개사다. 선정된 중개사는 거래동의가 완료된 빈집 정보를 민간 부동산 플랫폼과 귀농귀촌 누리집 '그린대로' 등에 등록하고 핵심 매매·임대 계약을 체결하게 한다.

김상식 예천군 농촌활력과장은 "농촌 빈집 거래 활성화를 통해 주민들에게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민간 주도의 지속 가능한 관리 체계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