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 사이에서 기대를 모았던 5월 초 황금연휴의 실현 가능성이 결국 사라졌다. 정부가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지 않기로 하면서다.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 달 2일을 임시공휴일로 두는 방안을 공식적으로 검토하지 않고 있으며, 해당 날짜를 휴일로 지정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5월 1일 근로자의 날부터 5일 어린이날, 6일 대체공휴일까지 이어지는 연휴에 2일이 더해져 최장 6일간의 연휴가 만들어질 수 있었던 시나리오는 실현되지 않게 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5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은 정부 내 논의조차 없었으며, 현재로선 고려 대상이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이 같은 방침은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실질적인 내수 진작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올해 1월 27일 설 연휴 직전 정부가 임시공휴일을 지정했지만, 기대와 달리 내수 소비 증가보다는 해외 여행 수요만 급증했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당시 1월 내국인 출국자 수는 297만 5,191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7.3%, 직전 달과 비교해도 9.4%나 증가한 수치다. 반면, 통계청이 제공한 '나우캐스트(Nowcast)' 자료에 따르면 1월 24일부터 31일까지의 국내 신용카드 사용액은 전주 대비 34% 감소해, 내수 진작 효과는 오히려 뒷걸음친 것으로 분석됐다.
또 다른 결정 배경으로는 오는 6월 3일 조기 대통령 선거일이 임시공휴일로 예정되어 있어 두 달 연속 임시공휴일을 지정하는 데 대한 부담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공휴일이 잦아질 경우 학교 학사일정이 지연되고, 돌봄 서비스의 공백으로 인해 학부모들의 부담이 가중된다는 우려가 교육계와 학부모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기재부의 또 다른 관계자는 "임시공휴일 지정은 단기간에 결정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며, 사전에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며 "현재는 그러한 절차가 진행되지 않고 있어 지정은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