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매판매 및 부동산 개발투자 모두 부진
올해 5%대 성장 목표 달성 못할 가능성 농후
중국 정부 부담 커질 듯 "구조적 개혁 및 리스크 대비"
8월 중국의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모두 시장 예상치를 밑돌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키우는 모습이다. 5%대로 제시했던 올해 성장 목표 역시 지키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이 힘을 얻고 있다.
14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8월 중국 소매판매는 2.1%, 산업생산은 4.5% 전년동기에 비해 증가했다.
전년 동기에 비하면 증가세지만 기뻐할 수 없는 수치다. 이달 소매판매 증가율은 시장 예상치(2.5%)에 비해 0.4%p(포인트) 낮았고, 전월(2.7%)에 비해서는 0.6%p 낮았다. 소매판매는 백화점이나 편의점 등 다양한 소매점 판매수치가 반영돼 내수 경기를 투영한다.
8월 산업생산 역시 전망치(4.8%) 대비 0.3%p 부족한 수치인데다 전월(5.1%)에 비해서도 증가폭이 둔화했다. 8월 도시 실업률은 5.3%로 전달에 비해 0.1% 포인트 올랐다.
중국경제의 큰 고민거리인 부동산 시장 침체 역시 여전하다. 중국의 지난달 부동산 개발투자는 전년동기 대비 10.2% 하락하며 반등의 기미를 보여주지 못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올해 5% 안팎의 정부 경제성장 목표치를 내놓고 있지만 달성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1분기 5.3% 성장을 이뤘다고 발표했으나 2분기에는 성장률이 4.7%로 빠르게 둔화하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미국 투자은행들을 비롯해 다수의 글로벌 금융기관들 역시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 전망을 4%중반이나 후반으로 잡는 등 5% 미만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재정이나 통화정책 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은 모습이고 부동산과 내수 침체를 못 피하고 있다는 게 이유다.
앞서 시 주석도 지난 7월 말 베이징에서 열린 당외 인사 좌담회에서 "현재 중국 경제 발전이 일부 어려움과 문제에 직면해있다"며 이례적으로 중국 경제의 위기를 시인한 바 있다.
시 주석은 지난 13일 간쑤성 란저우시에서 열린 한 좌담회에서 "모든 지역과 부처가 공산당 중앙위원회(당 중앙)의 경제 사업과 각종 주요 조치를 성실히 관철해야 한다"며 "경제 사업을 잘 수행해 올해 경제 사업 발전 목표 임무를 완성하기 위해 노력해 달라"라고 주문했다.
각종 지표가 좋지 못한 가운데 중국 정부가 더 강력한 경기부양 정책을 내놓을 지도 지켜봐야 할 대목이다. 국가통계국은 "향후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조치의 시행을 가속화하면서 구조적 개혁을 추진하는 동시에 리스크에 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전한길 "사전투표 규칙 개정해야…제2의 홍콩·베네수엘라로 몰락할 수도"
"7共" "체제전쟁" 국힘 경선 후보들 '反이재명' 한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