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SMR 국가산단 빛이 비친다

입력 2024-09-02 16:40:47 수정 2024-09-03 10:14:19

원안위, 예산 87억 증액 지원 강화
안전성 확인 체계 구축 속도전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전경. 홍준표 기자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전경. 홍준표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의 내년도 예산이 정부안 기준 올해보다 160억원 늘어난 2천769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원안위는 이를 통해 SMR(소형모듈원전) 등의 안전성 확인 체계 구축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2일 원안위에 따르면 국회에 제출한 내년도 원안위 예산안에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규제 체계 구축 예산 규모를 올해보다 87억원 늘어난 154억7천만원으로 편성했다. SMR 규제연구 추진단 운영과 인허가 현안에 대한 사전설계 검토를 수행토록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국내 SMR 산업의 중심지가 될 경주 SMR 혁신원자력 국가산업단지 후보지의 사업성도 덩달아 올라갈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지난해 경주를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하고, SMR 혁신기술 개발 등을 통한 SMR 글로벌 허브로 개발하는 것으로 구상 중이다. 그런데 이번 예산안이 이 과정에서 생길 개발 시행착오와 불확실성을 최소화 하는데 방점을 뒀기 때문.

현재 정부는 2028년 SMR 표준설계 인가를 거쳐 2030년대 중반 상용화 및 시장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1천㎿ 이상의 출력을 가진 대형 원전과 달리 SMR은 300㎿ 이하로 운영하는 소형 원전을 말한다. 원자로의 부품을 공장에서 모듈형으로 생산해 현장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SMR은 바다에서 냉각수를 끌어올 필요가 없어 입지선정이 자유롭고, 대형 원전의 중대사고 확률이 100만년에 한번이라면 SMR은 10억년에 한번일 정도로 안전성도 높다.

게다가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목표 대두로 원자력의 역할이 재조명되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SMR 기술개발이 한창이다. 자연히 시장성도 갈수록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아이디테크엑스에 따르면 SMR 시장은 2033년 724억달러(약 97조원)에서 2043년 2천950억달러(약 395조원)까지 뛸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원안위는 기존 경수로와 차별화되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비경수로가 개발되는 만큼 공통 적용할 수 있는 안전 규제 기술 확보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한 차세대 원전 개발 등에 맞춰 원자력 안전 인력을 양성하는 예산도 올해 대비 19억원이 늘어난 42억원을 편성했다. 원자력, 방사선 전공 대학과 대학원에 지원하는 원자력 안전 사전실습 교육 과정을 대학 10개교, 대학원 4개교로 확대 추진한다.

이외에도 현장 방사능 방재 기반 구축에 73억원을 편성해 한울권과 한빛권 현장방사능방재 지휘센터 신축을 마무리하고 방사선 방호약품도 비축해 관리한다.

원안위는 "원자력·방사선 안전을 최우선으로 철저하게 국민 안전을 챙겨나갈 수 있도록 편성한 내년도 예산안이 국회의 예산 심의 과정에서 충실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