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천명 대상 여론조사 결과
“중점 추진 과제는 산업과 경제 분야” 94%…지역 현안에 예산 집중 투입
지방 소멸 대안 이유보다는 눈앞의 먹거리 해결 급선무
“주민 홍보 공감대 중요” 30%…9월 특별법 발의, 연내 통과
대구경북 통합을 찬성하는 시도민의 76%는 실제로 통합이 이뤄진다면 지방정부 권한 강화로 대구경북의 경쟁력이 확보될 것이라 기대했다. 통합 진행 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 국내외 대기업 유치 등 산업·경제분야를 꼽은 지역민이 10명 중 9명에 달했다.
매일신문이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8~29일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대구 500명, 경북 500명) 상대로 진행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1%p)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대구경북 통합에 찬성하는 시도민은 '대구경북 통합에 찬성하는 이유는 무엇이냐'(2가지 중복 선택)고 묻는 말에 76.4%가 '지방정부 권한 강화로 경쟁력 확보'라고 답했다. 중앙정부로부터 권한과 재정을 충분히 이양받아야 통합 이후 대구경북이 지금보다 더욱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지난달 20일 민생토론회에서 "단순한 통합은 힘이 없다"며 "중앙의 권한과 재정을 많이 이양받아야 미국 주(州)정부처럼 실질적인 자치를 할 수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통합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행정력 낭비를 피하고 지역 현안에 예산을 집중 투입할 수 있다는 취지로 답한 응답은 과반에 달했다. 응답자의 59.1%가 '중복 행정 기능 해소 및 예산 집행 효율화'를 찬성 이유로 꼽았다.
다만 '저출산·인구 유출로 인한 지방소멸 대안'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7.1%로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래에 도래할 인구 소멸에 대한 위기감보다 '눈앞의 먹거리' 해결이 시급하다고 판단한 지역민이 많은 탓으로 풀이된다. 이외에도 '국가 균형발전 실현'은 17.2%를 차지했고 '기타'는 5.6%, '잘모름·무응답'은 4.6%였다.
'대구경북 통합 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분야는 무엇이냐'(2가지 중복 선택)를 묻자 산업·경제 분야에 역점을 둬야 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시도민 1천 명 중 93.6%가 '국내외 대기업 유치 등 산업·경제 분야'에 매진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지역특화 기술 등 과학기술분야'에 무게를 둬야 한다는 응답은 39.9%로 다음으로 비중이 컸다.
이외에 ▷사회복지·의료 분야 21.3% ▷자치행정서비스 분야 13.4% ▷문화·관광 분야 9.4% 순을 보였다. '잘모름·무응답'은 8.1%, '농·수산 분야'는 6.1%를 차지했고 '기타'는 5.6%, '교육 분야'는 2.6%를 차지했다.
'통합이 원활히 추진되기 위한 최우선 과제는 무엇이냐'를 묻는 말에 대해선 '시도민 홍보와 공감대'가 중요하다는 답변이 30.3%를 차지했다. '시도-지자체 긴밀한 협력'은 26.1%였다. 화학적 결합을 통한 '질적 통합'을 위해선 시도민 입장이 충실하게 반영되고, 대구시와 경북도 간 충분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중앙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12.9%였다.
다만 당장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답변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었다. 응답자의 11.3%만이 '특별법 제정'을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통합 특별법안을 올해 9월 말 발의하고 10월 양 의회에서 대구경북행정통합(안)에 대한 동의 절차를 완료 후 연말에 특별법을 통과시킬 목표로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기타'는 11.3%, '잘모름·무응답'은 8.1%였다.
여론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길리서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