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에겐 남의 일인 줄만 알았던 '소멸위험' 경보가 광역시 단위로는 처음으로 부산에도 발령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28일 발간한 '지역산업과 고용' 여름호에서 이상호 연구위원이 통계청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분석한 '지방소멸 2024: 광역대도시로 확산하는 소멸위험 '에 따르면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를 기록, 국내 광역시 단위 가운데 유일하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그러면서 부산의 소멸위험지수는 0.490으로 나타났다.
![[그래픽] 전국 광역시도 소멸위험도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28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이상호 연구위원은 통계청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분석한 \](https://www.imaeil.com/photos/2024/06/28/2024062817350921813_l.jpg)
▶소멸위험지수는 20~29세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5 이상=소멸저위험
▷1.0~1.5=보통
▷0.5~1.0=주의
▷0.2~0.5=소멸위험
▷0.2 미만=소멸고위험
전국 평균은 0.615로 나타났다.
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높은, 즉 선방한 곳은 세종시(1.113)이다. 이어 서울(0.810)과 경기(0.781)가 뒤따랐다.
그 다음은 대전(0.736), 인천(0.735), 광주(0.732), 울산(0.636) 순이었고, 이어 광역도인 제주(0.590)보다 대구(0.553)가 낮았다.
이어 부산(0.490), 충북(0.487), 충남(0.464), 경남(0.444), 전북(0.394), 강원(0.388), 경북(0.346), 전남(0.329) 순이었다.
이 가운데 대구는 광역시 단위 중 부산 다음으로 인구 문제가 심각한 수준인데, 대구 역시 인구 감소세가 꾸준하기 때문에, 향후 분석에서 부산에 이어 소멸위험 지역에 들어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부산과 대구는 이번 분석에서 소멸위험지수가 전국 평균보다 낮은 유이(2)한 광역시이다.

▶이같은 광역자치단체(광역시·도) 단위가 아니라 기초자치단체, 즉 288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3월 이후 신규로 소멸위험 지역에 들어간 기초자치단체는 11곳이다.
부산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 등 부산의 4개 구를 비롯해 대구 동구, 대전 중구·동구, 울산 울주군 등 광역시의 구·군이 8곳이었고, 나머지 3곳은 전남 목포시·무안군, 충북 증평군이었다.
부산 전체 소멸위험지수가 악화한 요인(부산 4개 구 신규 포함)이 확인된다. 아울러 신규 사례 11곳 중 광역시의 구·군(8곳)이 광역도(3곳)보다 더 많은 것은 이제 대도시로도 눈에 띄게 소멸 위험이 번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28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 지역은 130곳으로 57.0%를 차지했다. 또한 20~30대 여성 인구가 65세 이상 인구의 20%에도 못 미치는 소멸고위험 지역도 57곳으로 전체의 25%를 차지했다. 소멸고위험 지역 가운데서는 기존 군 지역뿐만 아니라, 경북 상주시·문경시, 경남 밀양시 등 시 지역도 포함되기 시작했다. 광역시·도 단위에서 처음으로 소멸위험 지역에 진입한 부산과 닮은꼴인 셈이다.
이상호 연구위원은 "급속한 고령화와 청년인구 유출로 인해 쇠락하는 지방의 단면을 보여준다"면서 특히 부산이 처음으로 소멸위험 지역에 든 걸 가리킨듯 "'지방소멸'은 아이들의 울음소리가 그친 텅 빈 농어촌 마을과 같은 협소한 개념에서, 지역 일반의 위기를 상징하는 개념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소멸위험 지역이 최근까지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소멸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