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정상회의 '비핵화' 언급에 '난폭한 내정간섭'…"中 참석 국제회의 공개비방 이례적"
북한이 한일중 정상회담 직후 군사정찰위성을 쏘아 올렸다가 90여분만에 발사 실패를 인정했다. 3국 공조에 훼방을 놓으려 정상회담 직후로 발사 시기를 조정했으나 기술력이 완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수를 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2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실패 원인에 대해 "1단 추진체가 폭발했기 때문에 연소 계통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 정도의 추정만 할 수 있다. 초기에 폭발해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북한은 이날 관영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군사정찰위성 발사 과정에서 신형 로켓 1단 추진체가 비행 중 공중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정찰위성 추가 발사 실패를 공식화했다. 한일중 정상회의가 끝난 직후인 27일 오후 10시 44분 정찰위성을 발사했다가 1시간 30여분이 지난 28일 0시 22분에 실패를 인정한 것이다.
북한은 이번 정찰위성 발사 실패에 대해 "비상설 위성 발사 준비위원회 현장 지휘부 전문가심의에서 새로 개발한 액체산소+석유 발동기(엔진)의 동작 믿음성에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초보적인 결론을 내렸다"고 언급했다.
북한은 지난해 5월과 8월에도 1차, 2차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1차 발사땐 2단 로켓 점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 발사체가 추락했고, 2차 발사에서는 발사체 2단 추진 단계에서 비정상 비행하며 실패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정찰위성을 추가로 발사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합참 관계자는 "작년에 (두 차례) 실패했을 때와 달리 추가 발사계획을 공언하지 않았고, (이번 실패 원인에 대해) 초보적인 결론에 도달했다고 스스로 밝혔기 때문에 (추가 발사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은 한일중 정상회의 당일 위성 발사 계획을 일본 정부에 통보했다. 이를 두고 3국이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이번 회의 직전에 견제구를 날려 '북중러' 3각 공조 체제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북한 측은 이번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에 '비핵화'가 언급되자 강하게 반발하는 담화문을 발표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전날 오후 6시쯤 조선중앙통신에 공개한 담화에서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의 '비핵화' 언급을 '난폭한 내정간섭'으로 규정하면서 강력히 '규탄 배격'한다고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 외무성 담화가) 남한에 대한 집중적인 비난이긴 해도 중국이 참석한 회의를 공개 비방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주목하면서 "(북한이) 중국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출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전한길 "사전투표 규칙 개정해야…제2의 홍콩·베네수엘라로 몰락할 수도"
"7共" "체제전쟁" 국힘 경선 후보들 '反이재명' 한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