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필수소재 텅스텐 분말 생산, 지역 반도체 산업 생태계 확대 기여 전망
일란 게리 IMC 그룹 사장 "대구텍·IMC엔드밀은 시민의 사랑 받는 대구기업"
세계적인 투자자 워런버핏이 소유한 IMC 그룹이 대구에 1천300억원 규모 투자를 결정했다.
대구시는 7일 오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IMC 그룹과 달성군 가창면 내 IMC엔드밀 반도체 소재 제조 시설 신설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IMC그룹은 역사상 가장 성공한 가치투자자로 평가받는 워런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지분 100%를 소유한 기업으로, 금속가공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절삭공구를 양산하고 있다. 앞서 IMC그룹은 2008년 대구텍에 1천억원을 투자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2018년 IMC엔드밀에 675억원을 투자했다. 이번 투자로 대구 누적 투자액은 2천975억원으로 늘었다.
IMC엔드밀은 대구 신규공장 증설을 통해 반도체 특수가스의 제조에 사용되는 '텅스텐 분말'을 양산할 계획이다.
텅스텐 분말은 반도체용 특수가스 제조에 사용되는 소재로 세계 각국이 전략 물자로 관리 중이다. 텅스텐 분말의 국내 생산은 공급망 안정화는 물론 국내 반도체 업계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최근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데이터센터 등 첨단기술 발전으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텅스텐 분말 제품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IMC그룹의 사업 다각화는 반도체 사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대구시와 시너지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시는 텔레칩스,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 등 국내외 대표 반도체 설계기업을 유치하는 한편 대구형 반도체 생산공정 'D-FAB'과 반도체 공동연구소 건립을 통해 시스템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힘쓰고 있다.
일란 게리 IMC 그룹 사장은 이날 투자협약식에서 "IMC그룹의 대구텍, IMC엔드밀은 대구를 세계적으로 널리 알라고 대구시민에게 사랑받는 자랑스러운 대구기업"이라며 "혁신에 성공한 배경에는 대구지역의 우수한 인적자원이 있었다. 이번 투자 역시 대구의 인재를 보고 결정했다"고 했다.
이어 "반도체 소재 공급의 선도업체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또 지역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텍과 IMC엔드밀은 워렌버핏과 IMC그룹 차원의 과감한 투자로 대구와 함게 성장한 대표적인 외투(외국인투자)기업 성공사례"라며 "이번 투자가 (IMC엔드밀이) 반도체 소재로 성장을 이어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대구 반도체 산업 생태계 확대, 지역 경제 활성화에 더 큰 역할을 할 것을 믿는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