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를 넘기면 고연령층일수록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0대가 전 연령대에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역량인 '미디어 리터러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이 같은 경향이 두드러졌다.
1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고흥석 군산대 미디어문화학과 교수 연구진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지역 격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한국미디어패널의 조사 데이터 가운데 만 19세 이상 응답자 9천57명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역량은 30대가 5점 만점에 3.23점으로 가장 높았다. 20대가 3.21점으로 2위에 올랐고 이어 40대(3.10점), 50대(3.00점), 60대(2.68점) 순이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교육 수준(최종학력 기준)이 높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대학원 재학 이상이 3.47점, 대졸 이상이 3.18점, 고졸 이상이 2.83점, 중졸이 2.21점, 초졸이 1.83점을 기록했다.
소득에 따라서는 월평균 개인 소득 400만원 이상 집단이 3.27점으로 가장 높았고, 월 100만∼200만원(2.13점)으로 100만원 미만(2.69점)이나 소득이 없는 집단(2.73점)이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3.07로 가장 높았고 경기(2.94점), 광역·특별자치시(2.90점), 그 외 지역(2.53점) 순으로 조사됐다. 남녀 성별로 비교하면 남성(2.91점)이 여성(2.74점)보다 소폭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