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동 "안동댐 도산대교 건설 더 미룰 수 없어"…한화진 장관 "살펴보겠다"

입력 2023-10-27 16:59:34

27일 환경부 국감서 김 의원 강력 요구…"수몰로 2.5㎞ 거리 40여㎞ 도는 불편 반세기 감수"

2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환경부 등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에서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안동예천)이 질의하고 있다. 국회방송 캡쳐
2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환경부 등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에서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안동예천)이 질의하고 있다. 국회방송 캡쳐

경북 안동·예천을 지역구로 둔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공공시설 빈곤 속에서 40여 년을 살아온 15만 안동시민을 위해 환경부는 안동댐 도산대교를 우선 설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환경부 등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에서 이같은 주장을 펼쳤다.

김 의원에 따르면 1970년대 안동댐 건설 당시 총사업비(404억원) 중 공공시설 사업비는 8억원(총사업비 대비 1.98%) 수준이다. 약 30.2㎞의 이설도로가 공공시설물의 전부다.

최근 10년간 건설된 영천 보현산댐(2016년), 김천 부항댐(2016년), 영주댐(2023년) 등 5개 댐의 공공시설 사업비 비중은 20.2%로 안동댐의 10배가 넘는다. 현재 안동댐 건설로 생긴 안동호를 가로질러 안동 동서로 연결하는 교량은 1개(주진교) 뿐이다.

안동, 영주, 봉화, 영양 등 경북 북부내륙에서 영덕, 울진 등 동해안으로 이동하려면 40㎞에 달하는 도로를 우회해야 한다.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 주민들은 교량이 없어 1.3㎞ 떨어진 토계리로 가기 위해 33㎞를 돌아가고 있다.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와 예안면 부포리 등 2개면 9개 마을 주민들이 지난 2001년부터 도산면 동부리~부포리 간 도산대교를 건설해달라고 줄기차게 요구하는 이유다.

도산대교 건설 추진을 촉구하는 주민 궐기대회. 매일신문 DB
도산대교 건설 추진을 촉구하는 주민 궐기대회. 매일신문 DB

김형동 의원은 이날 한화진 환경부 장관을 향한 질의에서 "안동댐을 만들 때 물만 담았지 다리 건설은 하나도 없었다"면서 "주변 4개 면 주민은 2.5㎞가량 거리를 40여㎞ 돌아다니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댐이 없을 땐 저기로 시집오고 장가 간 동네고, 친구와 중간 장터에서 만났다"면서 "지금은 40㎞를 돌아가야 친구를 만날 수 있고 성묘를 할 수 있고 처가에 갈 수 있다. 이게 말이 되느냐"고 따져 물었다.

그는 "안동댐 건설 이후 40여년간 40%가 넘는 안동 인구가 줄었다. 안동시민은 반세기 동안 불편을 감소하며 정부 시책을 따라가고 있다"며 "과거 공공시설 없이 건설된 안동댐 주변 지역에 이제라도 추가 공공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환경부가 살펴달라"고 도산대교 건설의 시급함을 호소했다.

한화진 장관은 "그동안 주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었다는 점을 알고 있다"며 "살펴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