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고속국도 졸음쉼터 내 장애인 편의시설 부족"

입력 2023-03-30 10:06:59

50곳 중 19곳 화장실 문턱 높아 휠체어 사용자 출입하기 어려워
졸음쉼터 30곳은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전무

고속국도 이용자에게 필수시설인 졸음쉼터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이나 화장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연합뉴스
고속국도 이용자에게 필수시설인 졸음쉼터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이나 화장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연합뉴스

고속국도 이용자에게 필수시설인 졸음쉼터에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이나 화장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한국소비자원이 공개한 고속국도 46곳과 일반국도 4곳에 설치된 졸음쉼터 50곳의 장애인 편의시설 운영 실태 결과에 이 같은 내용이 포함돼있었다.

조사에 따르면 50곳 중 19곳의 화장실은 외부 바닥 면과 주 출입문의 높이차가 2cm를 넘어 휠체어 사용자가 출입하기 쉽지 않았다.

출입문의 높이차뿐만 아니라 좁은 입구도 문제가 됐다. 그 졸음쉼터 중 9곳의 주 출입문 폭이 휠체어가 통과하기 어려웠고, 일부 화장실은 대변기 칸의 폭·깊이가 좁은 곳이 10곳, 전면과 측면의 활동공간이 좁아 이용하기 어려운 곳이 13곳으로 조사됐다.

또 졸음쉼터 30곳은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이 없었고, 6곳은 전용 주차구역은 있었지만, 화장실 등 주요 시설물과 거리가 멀었다.

이 밖에도 보행로 폭이 좋은 곳 17곳, 통행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설치된 곳 6곳, 보도와 차도의 높이 차가 커 휠체어 이동이 불편한 곳이 12곳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도로공사와 민간 사업자에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자율 시정을 권고하고 국토교통부에는 장애인 시설 설치 확대 및 관리·감독 강화를 건의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