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2차 지방이전' 총력전…1차 이전기관 12곳 연계 복안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우체국물류지원단,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신산업 밀집·파급 효과 기대감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정부의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이전 때 앞선 김천혁신도시 1차 이전기관 12곳과 연계한 30여 개 공공기관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9일 경북도는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유치 전략을 크게 2가지 방향으로 수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의 임대청사 기관을 혁신도시 내 공실과 산업기반을 연계한 과학·산업 임대기관 유치 ▷1차 이전한 기관의 기능과 지역전략 산업을 연계한 공공기관 유치 등이다.
이는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방침에 맞춘 것이다.
앞서 정부는 2차 지방이전에 대해 "올해 이전 대상기관과 입지 원칙 등 기본계획을 수립해 6월 중 발표하고,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이전을 원칙으로 하반기 임대 기관을 우선적으로 이전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경북도는 균형발전특별법 내 관련 규정에 따라 이전대상 공공기관을 정의하고,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대상기관을 220여 개로 추정해 분류했다.
향후 정부의 입지기준 및 이전 대상기관 등 기본계획 발표에 따라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전략산업을 연계해 공공기관 유치를 후속적으로 병행할 계획이다.
경북도가 우선 유치목표로 정한 곳은 김천혁신도시 내 1차 이전기관인 12개 공공기관과 연계할 수 있는 30여 개 기관이다. 지역 신산업과 밀접하고 파급 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곳을 대상 기관으로 정했다.
김천은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유일하게 도시 내 KTX 역사를 뒀으며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도로·교통 기능군의 앵커 공공기관이 이전해 있다.
쿠팡, 우진산전 등 물류기업의 투자도 이어지며 스마트물류 거점도시로 변모해가고 있다.
분야별로 보면 '도로교통'에서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 10여 개 기관으로 정했다. 스마트도로 건설, 통합 신공항, 철도특구 지정과 R&D를 연계할 방침이다.
'물류'는 우체국물류지원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 등을 선정했다. 도로·철도·항공을 아우르는 스마트 종합물류 거점도시로 확장할 목표다.
'에너지'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원자력안전재단 등 기관을 선정했다. 혁신도시의 한국전력기술, 경주의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포항의 이차전지・수소에너지 클러스터 등을 연계하려는 계획이다.
'법률·농업'으로는 정부법무공단,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등 기관을, 그 외에 한국국방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을 유치 대상기관으로 선정했다.
경북도는 향후 적극적으로 유치전을 펼칠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수도권 병(病) 해소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수도권의 대규모 공공기관을 과감하게 지방으로 이전해야 한다. 산·학·연 상생협력을 통해 지역산업과 기업의 동반 성장을 이끌어 대한민국 어디서나 잘 살 수 있는 확실한 지방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