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TK신공항 LH 참여해야…영일만 2배 확장"

입력 2025-08-13 21:17:53 수정 2025-08-13 21:18:52

"대구·경북 통합 특별법 시간 부족…정부 일반법 제정에 맞춰 추진"
"APEC, 대한민국 통일 기반 만드는 계기 돼야"

이철우 경북도지사. 경북도 제공.
이철우 경북도지사. 경북도 제공.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3일 대구경북신공항 건설과 관련해 "신공항은 무조건 건설해야 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열린 새 정부 대응 대구시·경북도 공동협력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앞서 참석자들을 격려하는 자리에서 "건설경기가 좋지 않아서 기부대양여 방식으로는 신공항 건설이 성공하지 못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기부대양여 방식을 살리면서 할 수 있는 방법은 LH가 참여해 국가기관이 공사를 하고 사업에 필요한 자금에 대한 이자 등 문제는 공공기금을 투입하면 되고 지방정부도 조금 부담하면 된다"고 제시했다.

이 지사는 이와 함께 "대구와 경북의 미래를 봐서는 현재 16선석 규모로 계획된 포항 영일만항 계류시설을 2배 규모인 32선석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낙동강 취수원 문제와 관련해선 "해평취수장을 활용하고 필요하면 상류에 추가하는 등 빨리 추진할 수 있는 방안부터 우선 추진하고 이후 필요하면 다른 방안을 추가로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경주 APEC 정상회의와 관련해선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잘 되면 두 대통령이 APEC에 참석할 것이고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같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며 "APEC이 대한민국 통일 기반을 만드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그러면서 "DMZ 호텔 건립, 판문점 개발, 원산항 조선소 건립 등으로 미국도 좋고 북한도 좋은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구시와 경북도는 '공동 협력 TF'를 통해 두 지역의 공동 현안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전략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지역 소멸위기 극복과 수도권 일극체제 대응 등 장기적 발전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열린 회의에서는 지역발전 핵심 현안을 중심으로 초광역 사회간접자본(SOC), 미래전략산업, 문화·관광권 개발, 사회·환경 등 분야별 핵심 협력 과제를 우선 논의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후 선정된 과제들은 시·도 협의를 거쳐 협력 방식과 세부 추진 방향을 확정하기로 했다. TF는 오준혁 대구시 기획조정실장과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이 공동단장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