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주 이상룡 훈격 상향 논의…국가보훈처 국민공감위 첫 회의

입력 2023-03-05 22:05:06 수정 2023-03-05 22:06:39

이회영·최재형·박상진 등 논의

석주 이상룡 선생
석주 이상룡 선생

안동 임청각이 생가인 석주 이상룡 선생을 비롯한 이회영, 최재형 등 일부 독립유공자에 대한 훈격 재평가가 본격적으로 실시된다.

국가보훈처는 7일 '독립운동 훈격 국민공감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공적에 비해 낮은 훈격으로 포상됐다고 지적돼 온 독립유공자에 대한 훈격 상향 여부 논의에 나선다.

이번 재평가 대상은 독립유공자는 김상옥(1962년 대통령장), 이상룡(1962년 독립장), 박상진(1963년 독립장), 이회영(1962년 독립장), 최재형(1962년 독립장), 나철(1962년 독립장), 헐버트(1950년 독립장) 등이다.

위원회는 6개월 정도 활동하며 공적 재평가 필요성과 국민적 공감대 형성 등 토론과 숙의과정을 거쳐 정책 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들에 대해 관련 기념사업회 등이 훈격 상향을 꾸준히 요구했지만, 상훈법상 동일한 공적에 대해 훈·포장을 중복으로 수여할 수 없어 공적 재평가에 대한 제도적 어려움이 있었다는 게 보훈처의 설명이다.

보훈처는 "대규모 포상이 이뤄지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 반세기 이상 시간이 흘렀고 그간 확인되지 않았던 자료들이 다수 발견됐으며 관련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훈격에 대한 논란이 없도록 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독립유공자 포상은 1949년 처음 실시된 뒤 1962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져 김구, 안중근, 윤봉길 등이 1962년 대한민국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