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고 교우지 '경맥'에 실려…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 31일 공개
1960년 2월 대구에서 일어난 2·28민주운동의 함성을 생생하게 노래한 시가 60여년 만에 재발견됐다.
사단법인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는 시인이자 국회의장을 지낸 '한솔' 이효상이 2·28 민주운동을 보고 지은 '대열은 지축을 흔들며'를 찾아내 31일 공개했다.
이 시는 경북고 출신으로 경북대 교수 및 문리대 학장을 지낸 한솔이 2·28민주운동을 보고 지은 작품이다. 1961년 9월 발간한 경북고 교우지 '경맥' 8호에 실렸으나 60여년 동안 대중에게는 알려지지 않았다.
'대열은 지축을 흔들며 중앙통(中央通)으로 지나갔다/ 2.28 정의(正義)의 봉화(烽火)는 여기서 먼첨 올랐다...'로 시작하는 이 시는 '대열이 지축을 흔들며 지나갈 때에/ 시민은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만세를 불렀다/ 나라를 사랑하는 같은 피가 용솟음쳤던 것이다/ 정의를 사랑하는 열정에 불이 붙었던 것이다...' 등 당시 고등학생으로 구성된 시위대와 이를 마주한 거리 시민들의 표정과 감정들을 한눈에 보듯 그려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 2.28민주운동에 관한 시는 1960년 시위 당시 현장을 목격한 시인 김윤식이 끓어오르는 분노와 학생들의 용기를 한편의 시로 토해낸 '아직은 체념할 수 없는 까닭은'이 널리 알려져 있다.
박영석 2.28기념사업회 회장은 "김윤식 시인의 시에 이어 한솔 이효상의 2·28을 주제로 한 가슴 뭉클한 시를 이번에 새로 찾아내 2·28의 의미를 더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