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사도광산 세계유산 재신청…외교부·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반발

입력 2023-01-20 16:50:47

日, 19일 파리 세계유산사무국에 정식 추천서 제출…2024년 등재 목표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 외교부 반발…피해자재단도 '철회' 요구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 세계문화유산 정식추천서를 유네스코에 다시 제출한 것으로 알려진 20일 오후 주한일본대사 대리인 나미오카 다이스케 경제공사가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초치 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 세계문화유산 정식추천서를 유네스코에 다시 제출한 것으로 알려진 20일 오후 주한일본대사 대리인 나미오카 다이스케 경제공사가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로 초치 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니가타현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정식 추천서를 유네스코에 다시 제출해 논란이 일고 있다. 외교부는 즉각 유감 표며 입장을 밝히며 주한일본대사대리인 나미오카 다이스케 경제공사를 초치, 등재 재신청에 항의했다.

20일 현지 보도에 따르면 나가오카 게이코 일본 문부과학상은 이날 기자들에게 "19일 밤(한국시간) 파리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사무국에 정식 추천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2024년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도광산은 에도(江戶) 시대(1603년~1867년)부터 금 생산지로 유명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사도광산은 17세기에 세계 최대 규모로 금이 산출됐던 곳이었다. 하지만 한국에겐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의 현장으로 더 알려져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2월에도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정식 추천해 한국 정부의 반발을 산 바 있다. 당시 유네스코는 일본이 제출한 서류에 유산 관련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이유로 심사를 진행하지 않았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지난해 9월 잠정 신청서를 다시 제출했고, 잠정 신청서를 냈기 때문에 정식 신청서를 내는 것은 사실상 예상된 수순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신청 기한은 다음 달 1일이다.

정식 신청서 제출이 현실화하자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2015년 등재된 '일본 근대산업시설' 관련 후속조치가 충실히 이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유사한 배경의 사도광산을 또다시 세계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고 항의했다.

이어 "전시 강제노역의 아픈 역사를 포함한 전체 역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유네스코 등 국제사회와 함께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도훈 외교부 2차관은 이날 서울 세종로 청사로 주한 일본 대사대리인 나미오카 다이스케 경제공사를 초치해 등재 재신청에 항의했다.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강력히 반대하며 조속히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재단은 "일본이 근대 이후의 강제동원을 포함한 전체 역사에 대한 언급 없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올리는 것은 부당하다"고 비판했다.

일본 정부가 유산의 대상 기간을 16∼19세기 중반으로 한정해 조선인 강제노동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유산이 지닌 '전체 역사'를 외면하는 꼼수를 부렸다는 판단에서다. 재단은 "관련 국가들이 수긍하지 않는, 조각난 일부의 역사만을 내세운 등재신청이라면 모두의 인정을 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