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북 취업자 중 자영업자 비중 28.3%… 전국 최다 수준

입력 2023-01-17 10:13:17

통계청 조사 결과 전국 자영업자 563만2천명, 전체 취업자의 20%
전국서 자영업자 비중 가장 큰 지역은 전남, 가장 작은 울산의 2.3배

지난해 취업자 중 자영업자의 비중이 20.1%에 그치며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한 가운데 16일 오후 경기도 안산의 한 중고 주방용품 아울렛에 매입된 식당 주방 용품들이 빽빽하게 들어서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취업자 중 자영업자의 비중이 20.1%에 그치며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한 가운데 16일 오후 경기도 안산의 한 중고 주방용품 아울렛에 매입된 식당 주방 용품들이 빽빽하게 들어서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경북 취업자 가운데 자영업자 비중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두 번째로 컸다. 자영업자 비중은 주로 지방에서 크고, 대도시에서 작게 나타났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자영업자는 총 563만2천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20.1%였다. 지난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저다.

시도별로 보면 자영업자 비중이 가장 큰 지역은 전남(31.2%), 가장 작은 지역은 대기업 공장과 조선소가 포진한 울산(13.8%)으로 나왔다. 전남의 자영업자 비중은 울산의 2.3배에 달한다.

경북의 자영업자 비중은 28.3%로 전남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대구(19.7%)의 경우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이 밖에 지역은 전북(26.9%), 제주(26.6%), 충남(25.0%), 경남(24.8%), 강원(24.1%), 충북(23.5%), 부산(21.1%), 광주(19.1%), 대전(17.6%), 인천(17.0%), 경기(16.9%), 서울(16.3%), 세종(15.7%) 순이었다.

자영업자에 무급가족종사자(임금을 받지 않고 자영업자의 사업체 등에서 일하는 가족·친척)를 더한 비임금근로자 비중도 전남(39.9%)이 1위였고 울산(15.4%)이 최하위였다.

전남 취업자 10명 중 4명 정도가 자영업자거나 가족·친척인 셈이다. 울산의 2.6배에 달해 자영업자 비중보다 격차가 더 컸다.

임금근로자 비중의 경우 울산(84.6%), 서울(82.0%), 인천(81.4%), 경기(81.3%), 경남(69.8%), 충남(68.9%), 제주(66.2%), 전북(65.3%), 전남(60.1%) 등으로 나타났다.

경북(63.7%)의 임금근로자 비중은 전국 최저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