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관세 전쟁 속에서도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소폭 증가

입력 2025-04-24 17:33:49

전분기 대비 매출 2.1% 하락했지만 영업이익은 4천730억원 증가
판매가격 상승과 원가 절감 효과…건축 등 인프라부문 영업이익 181.7% 늘어

포스코 본사 전경. 매일신문DB
포스코 본사 전경. 매일신문DB

포스코홀딩스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전분기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글로벌 관세 전쟁 등 경영 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에서도 인프라사업 확대 등 경영개선 노력이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포스코홀딩스는 24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매출 17조4천370억원, 영업이익 5천680억원, 순이익 3천440억원의 실적을 거뒀다.

매출의 경우 전분기(지난해 4분기) 대비 약 2.1%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4천730억 증가하는 등 실적이 개선되면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지난해 1분기) 수준을 회복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철강사업은 주요 공장의 수리 증가로 생산 및 판매량이 감소했으나 판매가격 상승과 원가절감에 따른 수익성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34.7% 증가한 4천500억원을 기록했다.

에너지소재사업의 경우 포스코퓨처엠의 하이니켈 양극재 판매가 확대됐으며 음극재도 고객사의 공급망 다변화 수요 확대에 따라 판매량이 증가했다.

에너지·건축·DX·물류사업 등 인프라사업 부문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 가스전 판매 증가와 발전부문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3천70억원으로 나타나며 전분기 대비 무려 181.7%나 증가했다.

한편, 이날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발표한 현대자동차그룹과의 철강 및 2차전지 분야 상호 협력 내용과 핵심 사업 투자 계획 및 저수익·비핵심자산 구조개편 성과도 설명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3월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2Core+New Engine' 전략에 따라 철강·에너지소재·신사업 중심으로 그룹 사업을 재편했으며, 특히 철강사업은 고성장·고수익 시장 중심으로 현지 거점을 확보해 가는 '완결형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지난해 인도 최대 철강그룹인 JSW그룹과 현지 일관제철소 합작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으며, 최근 현대자동차그룹과 철강 및 2차전지소재 등 미래 모빌리티 사업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강화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아울러 포스코그룹은 지난해부터 시작된 저수익·비핵심자산 구조개편으로 현재까지 약 9천500억원 수준의 현금을 확보했으며, 올해 말까지 총 2조1천억원의 누적 현금창출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올해 8조8천억원을 들여 광양 전기로 신설,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 2단계, 호주 세넥스에너지 증산 등 그룹 핵심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