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축소 부동산 거래 절벽
한국 경제를 우려하는 전망이 올해 처음으로 나왔다. 지속화하는 수출 부진에 제조업 경기가 추워진 날씨만큼이나 얼어붙은 데다, 서비스업 경기마저 움츠러들고 있다는 게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판단이다.
KDI는 8일 발표한 '1월 경제 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 부진이 심화함에 따라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 둔화가 가시화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KDI는 지난해 11월 경제 동향에서 '경기가 둔화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표가 늘었다'고 평가했다. 이후 12월에는 '향후 경기가 둔화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KDI는 그간 경기 둔화 '가능성' 수준으로 진단을 내렸지만, 이달 들어선 '가시화'로 본격적인 경기 둔화를 인정하고 나선 모양새다.
지난해 12월 수출은 1년 전보다 9.5% 감소했다. 전월(14.0%)보다 급락해 감소세를 이어갔다. 특히 반도체의 경우 지난해 11월과 12월 각각 29.9%, 29.1% 감소했다.
지난해 11월 광공업(3.7%), 반도체(15.0%), 화학제품(13.7%), 1차 금속(18.6%) 생산이 1년 전보다 감소했다.
서비스 생산은 2.6% 늘었으나, 전월(4.8%) 대비 증가 폭이 줄었다. 숙박·음식점업은 6.8% 증가했지만, 전월(16.8%)보다 증가세가 줄어드는 등 대면 서비스업 증가 폭이 축소됐고, 부동산 거래 절벽 등으로 부동산업(8.4%) 감소도 증가 폭 감소의 영향을 미쳤다.
천소라 KDI 전망총괄은 "반도체 위주의 수출 부진으로 제조업 경기가 내려오는 모습이 지속해서 이어지고 있어 둔화 진단이 나왔다"며 "서비스업 경기는 조금 더 지켜봐야겠지만 현재 상황이 유지된다고 볼 때 전반적으로 내려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