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방안 발표
정부가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오는 2027년까지 밀 8.0%, 콩 43.5% 등 전체 식량자급률을 55.5%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2일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국내 생산을 늘려 식량자급률을 상승 추세로 전환하고, 안정적 해외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김정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각국의 자원 무기화 경향, 수출 제한 조치 실시, 국내 농가인구 감소 등 상황을 보면 식량안보 문제는 이제 일시적·우발적 충격이 아닌 상시적인 구조적인 위험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44.4% 수준인 식량자급률을 2027년 55.5%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생산량은 가루쌀 20만톤(t), 밀 16만8천t, 콩은 14만7천t까지 높인다.
이를 위해 전문 생산단지를 확대해 대규모·집중 생산체계를 구축한다.
논활용직불제는 내년부터 전략작물직불제로 확대해 가루쌀·밀·콩 등 식량안보상 중요 품목을 생산하는 농가에 직불금을 지급한다.
또 기후변화가 농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농식품 기후변화 대응센터를 2026년까지 설립한다.
2027년까지 농업 생산의 30% 이상을 스마트농업으로 전환해 생산성도 높인다.
농지 보전을 위해 연평균 1.2%인 농지면적 감소율을 0.5%까지 낮춰 2027년까지 150만㏊ 수준으로 유지하려 노력할 계획이다.
2024년까지 농지대장 정비를 추진하는 한편 농업진흥지역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도면·필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와 함께 기초 식량작물에 대한 공공비축을 늘려 밀과 콩 공공비축량을 2027년까지 각각 5만t, 5만5천t으로 높인다.
국내 밀 생산 증가에 따라 밀 전용 비축시설 신규 조성 방안도 마련한다.
아울러 소비 수요 발굴을 위해 국산 가루쌀·밀·콩 계약재배, 원료 할인공급, 신제품 개발 지원 등도 진행한다. 푸드테크 산업과 연계해 국산 콩을 활용한 대체식품 개발도 추진한다.
안정적 해외 공급망 확보를 위해선 해외곡물 유통시설을 2027년까지 5곳으로 늘린다. 이를 위해 500억원 규모의 저리융자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국내 기업의 해외 유통망 활용 반입물량은 지난해 기준 61만t(전체 곡물 수입의 3.5%) 수준에서 2027년 300만t(18%)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 실장은 "이번 대책에 포함된 다양한 정책과제가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세부 방안을 구체화하고 후속 입법조치를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