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남동 120호분, 5세기 후반 조성 추정

입력 2022-12-07 14:24:40

무덤 주인은 키 165cm 이상 남성, 8일 현장 설명회

경주 황남동 120호분 유구현황도. 문화재청 제공
경주 황남동 120호분 유구현황도. 문화재청 제공

경주 대릉원 일원의 '황남동 120호분'은 '5세기 후반에 만들어졌고 무덤 주인은 키가 165㎝ 이상인 남성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조사 결과가 나왔다.

문화재청은 7일 신라문화유산연구원과 함께 "출토된 유물의 제작 시기, 정강이뼈로 추정되는 인골 흔적 등을 고려할 때 무덤 주인은 5세기 후반 남성으로 추정된다"는 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했다.

황남동 120호분은 흙더미를 쌓아 올려 만든 봉분(封墳) 3개가 포개어진 형태의 무덤이다.

이 무덤은 일제강점기 당시 조사가 이뤄져 '120호'라는 번호가 부여됐으나 이후 봉분 위에 가옥이 들어서면서 일부가 훼손됐고 고분의 존재조차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에 문화재청과 경주시는 2018년부터 조사에 나서 주변부인 120-1호와 120-2호분을 확인했다.

120-2호분에서는 금동 관, 금동 신발, 금제 태환이식(太環耳飾·굵은 고리 귀걸이), 유리구슬 가슴걸이, 은제 허리띠, 은제 팔찌, 은제 반지 등이 발굴 돼 주목을 받았다.

화려한 장신구 일체가 무덤 주인이 착용한 상태로 발견되면서 당시 학계에서는 무덤 주인을 여성으로 보기도 했다.

중심부에 있는 120호분은 봉분 지름이 28m에 이르는 돌무지덧널무덤이다.

땅에 구덩이를 파고 나무 덧널을 넣은 뒤 그 위에 다시 돌을 쌓아 올리는 형태로 조사 결과 시신을 안치하는 '주곽'과 각종 부장품을 넣는 '부곽'으로 확인됐다.

주곽은 길이 380㎝ 너비 165㎝ 크기로 시신을 안치하는 '주검 칸'에는 무덤 주인을 동쪽으로 향하게 두었다. '부장 칸'에는 청동 다리미와 각종 토기 등이 함께 묻혀 있었다.

시신을 안치할 때는 목관 바닥에 납작한 철 덩이쇠를 깔고 가장자리에 석단을 둔 것으로 확인됐는데 덩이쇠는 얇고 긴 형태의 철물로 권력과 부를 상징한다.

이민형 신라문화유산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석단 하부 흔적 등을 볼 때 주곽은 나무로 만든 목곽"이라며 "쓰지 않은 관(冠)을 함께 묻은 점에서 무덤 주인의 신분은 왕보다 아래 인 왕족이나 귀족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주 황남동 120호분 함몰부 조사 후 모습. 문화재청 제공
경주 황남동 120호분 함몰부 조사 후 모습. 문화재청 제공

실제 무덤 주인은, 금제 귀걸이와 유리구슬로 만든 가슴걸이를 착장한 상태였고 허리 부분과 그 주변에서 은제 허리띠, 철제대도(大刀·큰 칼) 등이 발견됐다.

머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은제 투조(透彫·금속판 일부를 도려내는 것) 관 꾸미개(관식·冠飾), 금동 투조 관모 등이 뒤집어진 채 나왔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봉분에 산에서 가져온 흙이나 모래가 사용된 점, 그동안 신라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투조 문양 등이 발굴돼 학술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문화재청 등은 8일 오전 10시와 오후 2시에 경주 발굴 현장에서 조사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