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병 경북대 원예과학과 교수 "미래 농업 핵심 수직농장 시범 운영 데이터 쌓아야"

입력 2022-12-04 15:34:24 수정 2022-12-04 21:46:38

“관련 규제, 따를 필요도…투자·재배·생산 등 데이터 수집 시급“

임기병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교수. 경북대 제공
임기병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교수. 경북대 제공

"스마트팜 핵심 중 하나인 수직농장은 쌈·샐러드용 채소 품질을 균일하게 관리하고 소비자에게 재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차세대 농업 설비입니다. 미래 농업 안착을 위해서는 시범 운영을 위한 시설 도입이 시급합니다."

임기병 경북대 원예과학과 교수는 4일 매일신문 인터뷰에서 "유럽 등지 국가들은 2000년대 초부터 민간과 정부가 발맞춰 첨단 온실 등 차세대 농업을 발전시켜 왔다. 이와 달리 국내에선 '첨단 농업' 관련 정부 시책이 나온 뒤에야 농업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이 예산 확보와 기술 도입에 나서느라 엇박자가 있다"고 말했다.

임 교수에 따르면 서구권에서는 온실 기술을 발전시키면서 규모도 높이 5m급, 9m급 등으로 점차 키워왔고, 시설농업에 대한 농약·비료 배출 규제를 통해 폐액 처리 기술을 확보하는 등 순차적으로 농업 첨단화를 이끌어 왔다.

이런 과정 끝에 식물공장·수직농장도 등장했다. 바닥면적이 좁은 도심 폐건물에서 작물을 다단·대량재배하고, 가까운 거리의 음식점이나 샐러드바에 신선 채소를 공급하며 산업이 성장했다는 것이다.

임 교수는 "국내에선 온실 기술, 폐액 처리법조차 완전하지 못한 가운데 스마트팜부터 도입하는 게 시기상조일 수도 있다. 농지와 건축, 환경영향, 하수처리 등 관련 규제가 타당하다면 이를 무작정 없애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수직농장 작물은 기존의 비닐하우스·온실 작물과 많은 부분에서 다른 점이 많다. 도입 시기를 앞당겨 생산성 향상법, 투자 대비 수익성 등 데이터를 쌓고 이를 민관학이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임 교수는 수직농장을 비롯한 스마트팜 기술이 장래 맞춤형 식단 수요와 바이오 산업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임 교수는 "스마트팜은 채소를 균일한 품질로 보급하기에 유리하다. 향후 식물백신을 생산, 보급할 날이 오면 전염병·소화기질환 등도 손쉽게 예방할 수 있어 기술 확보가 시급하디"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