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 이후 새로운 여행방법으로 캠핑과 차박이 떠오른 지금 겨울철만 되면 텐트 및 차량내부 난방장치에 의한 질식사고 뉴스를 접하곤 한다. 11월 5일 강원도 원주의 한 오토캠핑장 텐트 안에서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은 사고의 주된 요인을 난방장치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로 보고 있다.
어린 시절 연탄보일러를 사용하던 기성세대는 일산화탄소 중독의 위험성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일산화탄소는 산소부족에 따른 불완전연소에 의해 생성되며, 호흡을 통해 신체로 들어오면 혈액 내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 운반능력을 떨어뜨린다.
그 결과 산소부족에 의한 질식이 발생하고 노출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점차 의식을 잃고 사망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위험한 일산화탄소이지만 그 자체는 무색, 무취, 무자극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존재의 여부는 물론 농도의 짙어짐을 사람이 느끼는 것은 힘들다. 일산화탄소를 "침묵의 살인자"라 부르는 이유다.
그럼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는 생활환경 내 난방장치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우리가 일하는 산업현장에서도 매년 일산화탄소 중독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겨울철 건설현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지난 10년간(11~20년) 건설현장에서는 78건의 일산화탄소 중독에 의한 질식재해가 발생해, 68명이 사망하였는데 그 중 26명이 겨울철 콘크리트 보온양생 작업 중 사망했다.
콘크리트는 물, 시멘트 및 자갈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건축자재로서 이를 굳히는 과정을 양생이라고 한다. 겨울철에는 콘크리트 성분 중 물이 얼었다 녹았다 하며 콘크리트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안에 갈탄, 숯탄 등의 연료를 태워 온도를 유지한다. 그 결과 보온양생 작업을 하는 공간은 산소는 떨어지고 일산화탄소가 가득한 죽음의 공간으로 변하게 된다.
올해 1월 대구 북구의 한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는 보온양생 장소에 출입한 작업자 4명이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지난해 11월 수성구의 한 건설현장에서도 갈탄을 피워 콘크리트를 말리는 양생작업을 하다가 4명의 작업자가 쓰러지기도 했다.
이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첫 번째 일산화탄소 발생의 원인이 되는 갈탄, 숯탄 난로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열풍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갈탄 난로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일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갈탄 난로의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는 등유 열풍기, 멘탄올 고체연료 또한 연소에 의해 열을 발생하므로 질식재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두 번째 담당자는 콘크리트 보온양생 공간에 질식위험 경고표지를 부착하고, 허가받지 못한 자가 출입하지 못하도록 통제해야 한다.
세 번째 콘크리트 보온양생 공간에 출입할 때에는 작업 전 산소 및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충분한 환기를 거친 뒤 송기마스크 또는 공기호흡기 같은 보호구를 착용 한 뒤 출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근로자에게 질식재해의 위험성과 재해발생시 대처방법에 대해 교육해야 한다.
모든 안전규칙은 과거의 사고로부터 작성되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필요 없는 안전규칙은 없으며, 지키지 않아도 될 안전규칙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나와 동료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우리 모두 안전규칙을 숙지하고 실천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