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없는 지자체, 매력 없는 기업"…장기 실업자·구직 단념 키운다

입력 2022-11-27 17:02:30 수정 2022-11-27 21:04:31

국내 기업 지원 통해 일자리 창출 도모해야
인문계열 과잉 사태 해결위한 교육제도 개선 필요

인력난과 청년 취업난 해소를 위해 마련된 채용박람회를 찾은 취업희망자들이 현장 면접을 기다리고 있다. 매일신문DB
인력난과 청년 취업난 해소를 위해 마련된 채용박람회를 찾은 취업희망자들이 현장 면접을 기다리고 있다. 매일신문DB

전문가들은 청년들의 취업·경제난의 원인으로 '일자리 미스매칭'과 '정부의 국내 기업에 대한 지원 부족'을 지적했다. 청년들이 실제로 원하는 일자리와 구인 시장에 나오는 일자리의 괴리감과 국내 기업의 소극적인 채용 환경이 구인난·구직난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김용춘 전국경제인연합회 고용정책 팀장은 "기업들의 해외투자가 국내 투자 규모의 5배 수준이다. 기업이 국내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정부가 만들어줘야 한다"며 "미국 지자체의 경우 10년간 세금 감면, 토지 무상 제공, 인프라 시설 설치 등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지만, 우리나라 지자체는 아직 힘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조업 중심의 구 산업에서 새로운 사업의 변화가 이뤄져야 하는데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 없이 기업의 힘만으로는 바꿀 수 없고, 이러한 구조가 인구 유출로 이어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승협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청년들의 '일자리 미스매칭' 해결을 과제로 꼽았다. 기업들이 충분한 연봉과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을 보장해주지 않는다면 대구 청년들이 대구에 남아있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집값 등 물가가 계속 상승하면서 청년들이 일반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충분치 않은 연봉과 워라밸을 제시하지 않는 기업에는 지원하지 않게 된다"며"우리나라 노동시장 구조가 굉장히 수직적이기 때문에 단계별로 경력을 쌓고 이직하기보다 처음부터 최상의 기업을 목표로 한다. 그렇다 보니 장기 실업자가 생겨나고 구직 단념 청년이 생긴다"고 진단했다.

이 교수는 "이에 따라 청년들이 보다 쉽게 수평 이직, 상향 이직을 할 수 있는 정책 차원의 구조개혁 마련이 시급하다. 1년 이상의 장기적인 교육훈련을 통해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