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125억달러 수출 흑자 효자 지역에다 4조대 대규모 기업 투자 진행 중
경북 수출 64% 차지하는 구미, '수출입은행 출장소' 폐쇄 아닌 기능 더 강화해야
"경북 구미는 전국 수출의 5%, 경북 수출의 64%를 차지하고 올해 전국 무역적자 속에 흑자 행진을 이어가는 수출 효자 지역입니다. 게다가 최근 4조원이 넘는 대규모 기업 투자가 진행 중이고 수출도 늘어나는데, 한국수출입은행 구미출장소를 폐쇄한다는 게 말이 됩니까. 존치는 물론 기능을 되레 강화해야 합니다."
한국수출입은행 구미출장소 폐쇄 움직임(매일신문 10월 25·30일 보도)에 구미지역의 반발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기획재정부의 정부 기관 효율성‧건전성 계획에 따라 구미·원주·여수 등 출장소 3곳의 폐쇄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3년 문을 연 구미출장소의 폐쇄가 거론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6~2019년에도 출장소 통폐합이 수출입은행 혁신안에 확정됐으나 지역사회 반발과 수출입기업 지원을 위한 존치 당위성이 커 존치로 결정된 바 있다.
그러나 3년도 채 지나지 않아 구미출장소 폐쇄 계획이 다시 세워진 것이다.
구미출장소가 폐쇄될 경우 관련 기업은 대구지점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과 수출입 금융 지원 축소 등 수출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으로 지역 경제계는 우려하고 있다.
이에 구미시와 구미상공회의소 등 경제계는 지난달 말 '한국수출입은행 구미출장소 존치하라'는 내용의 건의서를 정부, 국회 등에 전달하고 존치를 강하게 요청했다.
구미출장소는 구미·김천·상주·문경·안동·영주·의성·예천·봉화·청소·영양 등 경북도 내 11개 시군을 관할한다. 수출입 관련 기업 수는 구미 3천곳 등 4천200여 곳에 이른다. 지역 기업들은 구미출장소를 통해 2천억원의 각종 수출입 관련 자금을 지원받고 있다.
구미는 전국 수출의 5%, 경북의 64%(지난해 기준 283억달러)를 차지하는 내륙 최대 수출기지이다. 특히 구미는 올해 전국 무역적자(1~9월 327억달러) 속에 125억6천800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하는 수출 효자 지역이다.
구미의 무역흑자 행진은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 때에도 이어져 한국의 무역수지 증대에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구미는 SK실트론(2조3천억원), LG이노텍(1조4천억원), 한화시스템·LIG넥스원(4천억원) 등 4조원이 넘는 대규모 기업 투자가 진행 중이다. 또 구미 5산단 입주기업이 꾸준히 늘어나 수출입 관련 기업과 금융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구미지역에선 한국수출입은행 구미출장소를 폐쇄할게 아니라 기능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윤재호 구미상공회의소 회장은 "구미출장소 폐쇄는 고원자재가·고환율·고금리 등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 지역 수출기업들의 정책 금융 활용에 큰 차질이 발생해 지역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구미출장소 폐쇄는 수출을 강화하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기조와 정면 배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재고되고 오히려 기능이 더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