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9월 고용보고서 발표로 크게 밀렸다. 예상보다 견조한 고용 지표에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고강도 긴축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30.15포인트(2.11%) 하락한 29,296.79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04.86포인트(2.80%) 밀린 3,639.66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20.91포인트(3.80%) 떨어진 10,652.40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발표된 9월 고용보고서가 여전히 고용시장이 탄탄하다는 점을 확인시켰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9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26만3천 명 증가해 전월의 31만5천 명 증가보다 적게 늘어났다. 이날 수치는 시장의 예상치인 27만5천 명 증가를 밑돌았으며, 2021년 4월 이후 가장 적게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실업률은 3.5%로 전달의 3.7%에서 하락해 반세기래 최저 수준이었던 7월 수치로 되돌아갔다. 시간당 임금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 올라 전달의 5.2% 상승에서 하락했다.
경기침체 우려에도 여전히 실업률이 반세기래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점은 연준이 고강도 긴축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을 강화했다.
미 금리 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준의 11월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고용 보고서 발표 이후 80% 이상으로 상승했다. 전날에는 70%대였다.
연준이 11월에도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면 네 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에 나서는 것이다.
고용 지표 발표 이후 국채금리가 오르고, 달러화 가치가 상승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7bp가량 오른 4.31%를 기록했고, 10년물 국채금리는 6bp가량 상승한 3.89%를 나타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ICE 달러지수는 지표 발표전 112.030 수준에서 지표 발표 후 112.827까지 올랐다.
국제유가가 오름세를 보인 점도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대한 우려를 강화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1월물 가격은 배럴당 92달러를 넘어섰고, 브렌트유 12월물 가격은 배럴당 98달러까지 올라 100달러에 육박했다.
▶S&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으며, 기술주가 4% 이상 하락하며 약세를 주도했다.
임의소비재 관련주도 3% 이상 하락했고, 통신, 자재(소재), 부동산, 금융, 헬스 관련주가 모두 2% 이상 떨어졌다.
개별 종목 중에 반도체 업체 AMD의 주가는 회사가 개인용컴퓨터(PC) 수요가 약화하고 있다면서 3분기 매출이 기존 전망치를 크게 밑돌 수 있다고 밝히면서 13% 이상 하락했다.
엔비디아와 인텔의 주가도 각각 8%, 5% 이상 하락하며 동반 추락했다. 테슬라는 6.3% 크게 하락했다. 테슬라는 이번 주 주가가 16% 폭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5.1%, 아마존은 4.8%, 애플은 3.7% 내려갔다.
스포츠 베팅업체 드래프트킹스의 주가는 회사와 스포츠 전문 TV 방송국인 ESPN과의 제휴가 임박했다는 소식에 3% 이상 올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