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미 중앙은행 연준 겨냥 "청사 보수공사 비용 조사해야"

입력 2025-05-01 21:30:50

연준 통제강화 의도 해석 "투자자 불안 조성·민감정보 접근 소지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번에는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겨냥했다.

30일(현지시간) 블룸버스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머스크는 워싱턴DC에 있는 연준 본부의 보수공사 비용이 과도하다며 자신이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 인력 파견을 고려하고 있다.

머스크는 이날 백악관에서 취재진에 "결국 이 모든 것은 납세자들의 돈"이라며 "연준이 실제로 인테리어 디자이너에게 25억달러(약 3조6천억원)를 쓰고 있는지 반드시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며 자금 사용에 의문을 제기했다.

연준은 2021년부터 걸쳐 본부 보수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공수에 들어간 비용은 25억달러로 급증했다.

연준 측은 이는 인플레이션이 심화하면서 건축 자재 및 인건비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연준은 의회 예산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으로 운영 비용을 조달한다. 그러나 최근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연준은 수익보다 이자 지출이 많아지며 적자를 기록했다.

DOGE가 연준을 조사해야 한다는 머스크의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조기 해임 가능성을 시사한 후에 나온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을 향해 금리 인하를 촉구하면서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돼야 한다",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 등의 발언을 했다.

다만 그는 지난달 22일 "그를 해임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한발 물러섰다.

이날 머스크의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에 대한 정치적 통제력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를 보여주는 최근 사례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는 또 물가 안정에 있어 연준의 독립성을 신뢰하는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그동안 DOGE가 연방기관을 조사하면서 민감한 정부 데이터를 뒤져 문제가 불거졌던 점을 고려하면 DOGE의 연준 조사 시 이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연준 이사회와 12개 지역 은행은 감독 대상 은행의 독점 정보 및 통화 정책 심의와 관련한 비공개 기록 등 민감한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