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국가인정' 여론 확산, 英·佛 이어 加 합류

입력 2025-07-31 16:46:28 수정 2025-07-31 16:48:33

加 "팔 주권국 인정할 의도 있다", G7 중 3번째
이스라엘·美 "국가로 인정 안해" 캐나다 맹비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자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연합뉴스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자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연합뉴스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려는 국제사회의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이스라엘이 2년 가까이 전쟁을 끌며 민간인 희생을 키우고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조속한 휴전을 끌어내기 위한 압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0일(현지시간) 오타와 연방의회에서 회견을 열고 "캐나다는 9월 유엔총회 80차 회기에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의도가 있다"라고 밝혔다. 카니 총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개혁이 전제돼야 한다'며 여기에는 ▷마무드 아바스 자치정부 수반의 근본적인 통치체제 개혁 약속 ▷2026년 하마스가 배제된 총선 실시 ▷팔레스타인 국가의 비무장화 약속 등을 이행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카니 총리의 선언으로 주요 7개국(G7) 중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려는 국가는 3개국으로 늘었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 24일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는 의향을 밝혔고,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도 지난 29일 이스라엘이 오는 9월까지 가자지구 휴전에 동의하지 않으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달 28∼29일에는 뉴욕 유엔본부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이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주제로 하는 장관급 회의도 열렸다. 회의 뒤 발표된 공동 성명에서 프랑스·캐나다·호주 등 15개국은 "두 국가 해법을 향한 필수 단계로서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한다"며 "아직 인정하지 않은 모든 국가에 이 선언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집계에 따르면 현재 팔레스타인을 주권국가로 인정하는 나라는 193개 유엔 회원국 147개국(바티칸 교황청 포함)이다. 가자 전쟁 발발 이후 가자지구에 인도주의적 위기가 심화하면서 지난해 스페인, 아일랜드,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몰타 등 10개 나라가 이 대열에 추가로 합류했다.

이런 국제사회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의 맹방인 미국을 비롯해 한국, 일본과 서방 주요국 다수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날 이스라엘과 미국은 캐나다의 발표를 맹비난했다.

한편, 30일(현지시간) AP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의 총격으로 가자지구 한 검문소에서 식량 배급을 기다리던 주민 중 최소 48명이 숨지고 수십명이 다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