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댕댕이·커여워·팡역시, '야민정음'" 한글날 앞두고 행사 논란

입력 2022-10-06 07:29:25

"야민정음 어떻게 생각하시나요?"…2시간 만에 삭제
국어원 "디시 용어인 줄 몰랐다"…유희수단으로는 긍정적

국립국어원이 9일 한글날을 앞두고 온라인 행사를 진행하면서 '댕댕이(멍멍이)', '커여워(귀여워)' 등 온라인 용어를 '야민정음'이라고 소개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야민정음이라는 단어 자체가 특정 정치 성향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부정적인 반응이 쏟아지는 모양새다.

국립국어원은 지난달 중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한글날 맞이 누리소통망 댓글 기획 행사'를 알리는 이미지 한 장을 게시했다. 여기서 국립국어원은 "인터넷 게시판 등에서 특정 음절을 비슷한 모양의 다른 음절로 바꿔 쓰는 것을 '야민정음'이라고 합니다. 여러분은 야민정음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라며 댓글을 유도했다.

이어 '멍멍이→댕댕이', '광역시→팡역시', '귀여워→커여워', '명곡→띵곡'을 야민정음의 예시로 들었다.

행사가 시작하자마자 댓글에는 "국립국어원이 '야민정음'이라는 말을 써도 되나", "뜻을 알고 있는 게 맞나" 등 부정적인 반응이 쏟아졌다.

논란이 커지자 국립국어원은 2시간여 만에 게시글을 내렸다. 국립국어원 개방형 국어사전인 우리말샘에 등록돼 있던 '야민정음'도 잠정 삭제했다.

야민정음은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국내야구 갤러리를 뜻하는 '야갤'과 '훈민정음'을 합성한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야갤' 이용자는 대다수가 남성이며 보수 성향이 짙다. 야민정음은 이들이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김머중', 박근혜 전 대통령을 '박ㄹ혜'로 적거나, 지역명을 부를 때 머구(대구), 팡주(광주) 등으로 쓰는 언어문화를 일컫는 말이다.

이에 대해 국립국어원 측은 "언중이 재밌게 활용하는 문자 유희 현상으로 보여 건전한 토론의 장을 만들고자 행사를 기획했었다"며 "'야민정음'이라는 단어의 유래를 몰랐다가 누리꾼들의 지적을 통해 알게 됐고 행사를 중단하는 게 맞다고 생각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