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 발족하고도 마땅한 명칭 선정 못 해

대통령실이 용산 대통령 집무실 명칭을 정하기 위해 '대통령실새이름위원회'까지 발족하고 운영했지만 새 이름을 정하지 못하고 일단 그대로 '용산 대통령실'로 부르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14일 " 대통령실새이름위원회가 이날 오후 3시부터 최종 회의를 열고 토론을 벌여 대통령 집무실의 새 명칭을 권고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선호도 조사 결과 과반을 득표한 명칭이 없었고, 각각의 명칭에 대한 비판 여론 등을 감안할 때, 대통령실 새 이름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볼만한 명칭을 찾기 어렵다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는 게 위원회의 설명이다.
한마디로 '청와대'처럼 대통령실을 상징적으로 압축·의미할 수 있는 대표성 있는 명칭이 없어 선정하지 못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은 지난달 30일 용산 대통령 집무실의 새로운 명칭을 심의·선정하기 위해 '대통령실새이름위원회'를 발족하고 이달 중 새로운 대통령실 명칭을 확정하기로 했었다.
앞서 지난 4월 15일부터 한 달간 대국민 공모 형태로 접수받은 약 3만 건 중 새 명칭을 선정하기 위해 위원회를 역사, 문화, 국어, 건축, 공간, 디자인, 홍보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및 청년 인재, 국민대표 등 13명의 위원으로 구성했다.
'대통령실새이름위원회'는 31일 1차 회의를 시작으로 수 차례 회의를 열고 '국민의집', '국민청사', '민음청사', '바른누리', '이태원로22' 등 5개 후보작을 선정했고, 이달 3~9일 대국민 선호도 조사를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날 회의 전부터 5개의 후보 외에 다른 집무실 이름이 결정될 가능성이 점쳐졌고, 결국 그대로 용산 대통령실로 부르기로 하는데 의견을 모았다. 앞서 윤 대통령도 지난 10일 국민의힘 당 지도부와의 오찬에서 '공모한 이름이 다 마음에 안 든다'는 말을 한 것으로 전해진 바 있다.
권영걸 위원장은 "60여 년간 사용된 청와대의 사례에 비춰 볼 때, 한번 정하면 향후 오래도록 지속적으로 사용할 대통령 집무실의 이름을 결정하는 일은 무엇보다 신중하고 국민적 공감대가 우선돼야 한다"며 "이름을 성급히 선정하기보다는 지금처럼 '용산 대통령실'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다 시간을 두고 자연스럽게 정해지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