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비대위 출범부터 격화하는 '전대 룰' 전쟁

입력 2022-06-13 17:29:30 수정 2022-06-13 21:51:56

13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의가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서난이·이용우·한정애 비대위원, 우상호 비대위원장, 박홍근 원내대표, 박재호·김현정 비대위원. 연합뉴스
13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의가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서난이·이용우·한정애 비대위원, 우상호 비대위원장, 박홍근 원내대표, 박재호·김현정 비대위원.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13일 새 비상대책위원회를 정식 출범하자마자 오는 8월 예정된 전당대회 룰을 두고 계파 간 신경전이 격화하고 있다.

민주당 당규 제65조에 따르면,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투표에서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 순으로 반영, 합산한다.

현역 의원 등 지역위원장이 임명하는 대의원의 경우 친문(친문재인)계가, 3·9 대선을 전후해 입당이 급증한 권리당원의 경우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문(비문재인)계가 우세하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이에 친명계를 포함한 비문 진영 전반에선 최근 대의원 비율 축소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친명계 안민석 의원은 "계파 청산, 대의원 특권 폐지 등 당 해체 수준의 혁신을 위해 민주당을 수술대 위에 올려놓기를 바란다"며 "대의원 특권 폐지로 당 대표 이준석을 배출한 국민의힘보다 혁신을 못한다면 희망이 없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민주당 소신파로 분류되는 박용진 의원은 대의원, 권리당원 등 당심보다 민심 자체를 보다 더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13일 BBS 라디오에 출연해 "민주당에 가장 충성도 높은 전국 대의원, 더 센 권리당원 그리고 다른 당 지지자 뺀 일반국민 여론조사 이렇게 반영되면, 70%의 민주당에 호감을 갖지 못한, 그러나 이들을 설득하고 이들에게 표를 얻지 못하면 집권이 불가능한, 이런 국민들을 빼고 전당대회를 치르게 되니까 제도적 개선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했다.

반면 친문계는 룰 변경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

친문 핵심 전해철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기본적으로 그런 규칙(룰)을 바꾸는 것은 이와 같이 시기적으로 당면해서 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이제 지금 일부에서 이야기하는 대의원의 비중과 권리당원의 비중이 지나치게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는 이런 조정은 가능하지만 본질적 변경은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계파 간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우상호 비대위원장이 룰 변경 가능성을 시사한 것도 또 다른 변수다.

우 위원장은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당원 의사 반영률이 너무 낮다는 불만이 생길 수 있다"며 "조정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