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보건소 보건증 발급 13일 재개…대면 업무 순차 진행

입력 2022-06-07 17:03:53 수정 2022-06-07 20:18:48

8개 구·군 보건소 '보건증 발급' 시작

지난 3월 대구 북구보건소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매일신문 DB
지난 3월 대구 북구보건소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매일신문 DB

대구시는 코로나19로 2년 여간 중단됐던 보건소의 보건증 발급 업무(매일신문 5월 31일 보도)가 13일부터 재개된다고 7일 밝혔다.

보건증 발급 업무는 13일부터 8개 구·군 보건소에서 일제히 다시 시작된다. 다만 보건증 발급 요일이나 시간 등은 보건소마다 자율적으로 결정된다.

보건증 발급을 제외한 나머지 보건소 대면업무는 순차적으로 재개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30일 대구시와 8개 구‧군 보건소 관계자들은 보건소 업무 정상화 관련 회의를 열고 재개 시점을 논의했다. 당시 각 보건소들은 업무 과부하를 걱정하며 보건증 발급 업무 재개에 난색을 보였다.

확진자 격리 의무가 있는 '이행기'가 종료되기 전까진 재택치료자 관리에 보건소 인력이 집중돼 있다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민간 병원은 보건소보다 발급 비용이 비싼 탓에 보건소가 보건증을 발급해달라는 민원이 지속됐다.

보건소의 보건증 발급 수수료는 3천원이지만, 민간 병·의원에서 발급받으려면 이 보다 4배 가량 비싼 1만 2천원 가량을 내야한다.

또한 격리 의무가 사라지는 '안착기' 시작 시점이 재차 연장될 가능성도 있어 보건소의 보건증 발급 업무를 마냥 늦출 수 없었다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격리 치료 의무가 사라지는 안착기가 오는 20일부터 시작될 예정이지만 변이 바이러스 유입 등으로 이행기가 또 다시 연장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타 시·도에서는 이미 보건증 발급 업무를 시작한 상황에서 대구만 기다릴 순 없었다"고 했다.

다만 보건증 발급 외에 대면 업무 재개까진 다소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대구시내 한 보건소 관계자는 "자가격리자 수가 줄면서 관리 업무 부담도 감소해 코로나19 대응에 투입했던 인력을 재배치했다"면서 "진료 및 검사를 포함한 다른 민원 업무는 안착기 이후에 다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