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만 무성" 수성구청 신청사 어디로?…지선 후 윤곽 나올 듯

입력 2022-05-31 15:50:15 수정 2022-05-31 19:16:41

7월 이후 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 가능성↑, 공론화 거쳐 연말까지 결정
현위치, 만촌·연호·황금권 등 현청사와 멀지 않은 후보지 4곳 중 1곳

수성구청. 매일신문DB
수성구청. 매일신문DB

신청사 입지를 놓고 무성한 소문만 뿌리고 있는 대구 수성구청이 지방선거 이후 구체적인 후보지를 발표할 방침이라고 31일 밝혔다. 공론화 과정을 거쳐 올 연말까지는 부지를 확정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연호, 만촌, 황금권 3곳 중 1곳이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수성구청은 지난해 4월 '신청사 건립 타당성 및 기본구상 용역'을 발주하고 지난해 연말까지 결과를 도출할 예정이었으나 발표를 미뤄왔다. 표면적인 이유는 코로나19 상황 탓에 주민 공청회 등 여론수렴 과정을 거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6·1 지방선거 과정에서 논의가 과열되며 정치 이슈화되는 것에 대한 부담도 원인으로 꼽힌다.

수성구청은 이 같은 문제가 해소되는 지선 이후 신청사 부지 선정 작업에 속도를 내겠단 입장이다. 주민 대표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타당성 조사 결과 내용을 대부분 공개할 예정이다. 이전 후보지의 윤곽이 조만간 드러날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아직 구체적인 후보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연구용역에서 검토한 후보지는 현 위치를 포함해 연호, 만촌, 황금권 등 4곳으로 알려졌다. 범어동 법원·검찰 후적지, 대구경찰청 인근 대구시 교통연수원·보건환경연구원 부지, 대구 스타디움 인근 등 앞서 거론되던 일부 부지는 대상에서 배제됐다.

현 청사 위치 역시 지반보강에 막대한 추가비용이 들 수 있다는 판단과 공사 기간 임시 사무공간 임차 문제 등 약점이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연호, 만촌, 황금권 등 현 청사와 아주 멀지 않으면서도 특정 생활권에 치우치지 않은 곳이 낙점될 가능성이 높다.

수성구청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가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고 지방선거가 마무리되는 대로 공론화 작업에 속도를 낼 것"이라며 "수뇌부가 바뀌는 대구시와의 조율 필요성 등을 고려해 대구시 하반기 인사가 나는 7월 이후가 적절한 시점이 될 것 같다"고 했다.

1978년 준공한 수성구청 현 청사는 지상 5층, 지하 1층의 연면적 1만926㎡ 규모로, 공유재산법상 청사 기준 면적 1만4천61㎡의 77%에 불과하다. 1992년 남측 별관과 2003년 서측 별관을 추가로 지은 것으로도 부족해 2019년에는 인근의 건물을 임차해 6개 부서 130여 명의 직원이 수성구청 밖에서 근무하고 있어 신축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