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산업 핵심 물자 현황 분석 결과 내놔 공급 불안 해소 필요성 대두
조기경보 관리 체계, 수입선 다변화 필요
우리나라가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핵심 수입 품목 10개 중 7개가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30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한국경제 산업 핵심 물자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최남석 전북대 무역학과 교수에게 의뢰해 만든 자료다.
보고서가 제시한 '관리가 필요한 핵심 수입 품목'은 수입 의존도가 90% 이상이고 수입 경쟁력이 절대 열위인 품목 중 수입 금액 규모가 상위 30%에 해당하는 228개 품목. 이 가운데 중국산 품목이 172개로 75.5%를 차지했고 일본산은 32개로 14.0%, 미국산은 245개로 10.5%로 집계됐다.
중국산 핵심 수입 품목으로는 전기제품, 기계와 컴퓨터, 철강, 유·무기 화합물, 유리, 의료용품, 비철금속이 꼽혔다. 특히 강철을 만들 때 꼭 필요한 소재인 망간, 전기차 배터리의 음극재에 활용되는 필수 원료인 흑연,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주요 소재인 마그네슘은 관리해야 할 대표적인 중국산 수입 품목이다.
일본산 핵심 수입 품목은 전기제품, 기계와 컴퓨터, 플라스틱, 전기제품 유기화합물 등이었다. 이 중 폴더블 디스플레이 소재인 폴리이미드 필름, 반도체 웨이퍼를 가공하는 기계 또는 분사기 등이 대표적인 관리 필요 품목. 미국산 핵심 수입 품목은 항공기, 전기제품, 과일, 기계와 컴퓨터 등이었다.
최남석 교수는 "핵심 수입 품목의 수급을 관리하지 못하면 언제든지 요소수 대란과 같은 공급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228개 품목 중 기업 간 거래가 많고 글로벌 공급망 안전성이 취약한 133개 품목에 대해선 수급 이상 동향을 챙길 조기경보 관리 체계가 수립돼야 한다"고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33개 품목 중 중국산은 95.4%(127개)에 이른다. 반도체 소재인 산화 텅스텐, 염화칼슘, 비디오 카드, 태양광 모듈, 농약 원제 등이 포함된다. 일본산, 미국산은 각각 2.3%(3개)였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우크라이나 사태, 상하이 봉쇄 조치가 장기화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악화하고 있다"며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글로벌 공급망 동맹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중국 편중 현상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