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우리 정부가 감당 가능한 수준의 국가채무 비율 물음에 "국제통화기금(IMF)이 85% 이내에서 적정하게 유지하라고 권고까지 했다"며 재정 지출 확대 필요성을 주장했다. 지난달에도 "IMF가 과거 한국 국채 비율을 85% 이내에서 운영하는 것을 권고한 적이 있다"고 했다.
이 후보 발언만 놓고 보면 IMF가 한국 정부에 국가채무 비율의 적정 수준을 국내총생산(GDP)의 85%로 제시한 것으로 오해하기 십상이다. 이 후보는 IMF가 언제, 어떤 형식으로 권고했는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이 후보 캠프가 그 근거로 2017년 IMF와 한국 정부의 연례 협의 결과 보고서를 제시했을 뿐이다. 보고서는 GDP 대비 부채 비율을 위험한 수준 이하로 안정시키기 위한 방안을 언급하면서 이 수준을 선진국 경우 GDP의 85%라고 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 입장은 이 후보 발언과 동떨어진다. IMF 언급은 선진국 기준치인 85%에 비해 한국이 양호하다는 의미이지 85% 이내가 적정하다고 한국에 권고했다는 것은 과도하다는 게 기재부 설명이다. IMF에서 2017년 이후로도 한국에 국가채무 비율을 몇%까지 유지하라고 구체적인 수치를 권고한 적도 없다. 미국 등과 달리 기축통화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에 안정적인 부채 비율을 기축통화국과 똑같이 적용하는 것도 불합리하다.
이 후보는 작년 "외국 빚에 의존하지 않는다면 정부 적자는 민간의 흑자이고 나랏빚은 민간의 자산"이라는 궤변을 늘어놨다. 재정 지출 확대에 목을 매는 이 후보 눈엔 가파른 국가채무 증가는 안 보이는 모양이다. 문재인 정부 5년 동안 국가채무 비율이 36%에서 50%로 급증했고, 공공기관과 공기업 부채를 더하면 GDP의 76.8%나 된다. 국가부채 급증과 재정 적자가 지속되면 그리스·일본과 같은 복합형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이 후보가 주목할 것은 억지 주장을 펴기 위한 근거가 희박한 수치가 아니라 국가채무 급증이 보내는 위기 경고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