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프에서 '비거리'는 스코어를 줄여주는 핵심이다.
골프 경기의 박진감은 볼을 타격하는 횟수를 최대한 줄일 때 비로소 성취된다. 이를 위해 비거리를 늘리는 것은 필요 불가결한 요소다. 드라이버 티샷으로 멀찌감치 볼을 보낸 골퍼와 그렇지 못한 골퍼의 차이는 그린에 볼을 올려놓을 가능성의 확률이 달라진다는 점이다. 즉 골퍼의 공이 그린에 가까울수록 적은 횟수로 홀을 마감할 가능성이 커진다.
그런데 비거리는 엄청난 데 비해 방향성이 충족되지 않는 골퍼들의 입장에선 방향성이 스코어를 줄이는 방법이 아니냐고 반문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사례는 아니지만 일견 수긍되는 의문이다.
그러나 방향성은 다른 얘기로 비거리를 줄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정확한 답안은 아닐 듯싶다. 방향성이 좋지 않다는 얘기는 목표 지점을 설정한 뒤 지그재그로 볼이 비행했다는 뜻이다. 이 같은 비행은 골프에서 비거리를 확보한 것이 아니라 목표 지점에서 되레 멀어졌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비거리의 기량이 탁월하다고 평가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육상선수가 매우 빠른 기록을 지녔다손 치더라도 코스를 달리지 않고 관중석으로 애돌아 뛴다면 기록으로 남지도 않을뿐더러 정상적인 실력으로 인정받기 어려운 이치와 마찬가지다.
이런 까닭에 단체 아마추어 골퍼들이 롱홀에서 롱기스트 기록을 측정할 때 반드시 페어웨이 범위 안에 볼이 안착해야만 장타 비거리로 인정되는 룰에서도 알 수 있다. 아이언이나 우드류샷도 마찬가지다. 어쩌면 아마골퍼들이 비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연습장 매트 위에서 구슬땀을 흘리는 것은 당연지사다. 스코어를 높일 수 있는 확률이 가장 높은 방법이 이것이기 때문이다.
필자가 세밀하게 들여다본 아마추어 골퍼의 비거리 한계는 첫째, 대부분 임팩트 직전 손목과 손가락의 순간 압력이 높아져 본인의 태생적 비거리 중 약 20~30m를 손실된다는 사실이다. 이를 뒤집어 얘기하면 손목과 손가락이 유연할 경우 위와 같은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두 번째, 비거리의 한계를 가져오는 스윙 동작은 몸통의 적절한 활용을 통한 팔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 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위의 두 사례 중 첫 번째는 연습이 필요하지 않으며, 두 번째는 인위적인 노력이 꼭 필요하다.
임팩트 직전에 손목과 손가락에 필요 이상의 힘을 가하는 동작은 정신적인 영역에 가깝고 몸통 움직임은 신체의 기량 측면에 다가서 있다. 다시 말해 볼을 세게 치려고 임팩트 순간에 손목이나 손가락 힘을 가하지 않는다는 자기절제가 선행되는 정신적 훈련이 이뤄지면 첫 번째는 당장 고칠 수 있다. 어려운 기술은 두 번째 바디스윙으로 일컬어지는 몸통의 활용 방법이다. 스윙의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습득해야 하는 난이도 높은 항목이다.
연습장에서 프로의 도움과 더불어 골퍼 본인의 피나는 노력, 그리고 스윙의 논리를 깨우치는 지혜와 순발력도 겸비해야 가능하다. 가령 이를 위해 신체의 3단 분리 형태를 갖추는 것도 수많은 시행착오와 끈기 있는 지구력이 요구되는 훈련이며 체중 이동, 골반 돌리기도 일정 기간 숙련이 필요한 테크닉이다. 이 모든 훈련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며 신체가 습관적으로 반응할 때 비로소 치는 대로 골프공이 날아가고, 의지를 담아 바라본 대로 가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