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이자 부담 더욱 늘어나 비상…기준금리 상승 및 우대금리 축소가 원인

금리 상승세에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가 3%, 신용대출 평균금리가 4%를 돌파하며 2년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준금리 상승은 물론 가계대출 축소기조에 따른 우대금리 축소까지 더해진 것이 원인으로 가계 이자부담이 커지는 모습이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연 3.01%로 한달 새 0.13%포인트(p) 올랐다.
지난달 주담대 금리는 2019년 3월 이후 2년 6개월만에 가장 높았다. 상승폭 0.13%p는 2016년 11월(0.15%p) 이후 4년 10개월만에 최고였다.
신용대출금리는 연 3.97%에서 4.15%로 0.18%p 올랐다. 2019년 6월(4.23%) 이후 2년3개월만에 최고 기록이다. 전체 가계대출금리는 3.18%로 9월(3.10%)보다 0.08%p 상승했다. 이는 2019년 6월(3.25%) 이후 최고치다.
가계대출 금리 상승은 시중은행들이 각종 우대금리를 축소한 영향도 있다. 지난달 NH농협은행이 주담대 및 전세대출 등 신규 부동산 대출 중단을 선언했고 다른 시중은행에 수요가 몰리며 우대금리 축소가 뒤따랐다.
송재창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기준금리가 8월 26일 인상되면서 코픽스, CD(양도성예금증서), 은행채 등 지표금리도 올라 9월 은행권 금리에 반영됐다"며 "일부 인터넷은행이 5∼6%대 중금리 대출을 늘린 점 등도 금리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