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폭탄 피할까" 대구경북 車부품업계 24일 '운명의 날'

입력 2025-04-21 18:16:41 수정 2025-04-21 20:13:33

한미 관세협상 '윈윈' 해법 찾아야
최상목·안덕근, 한미 재무·통상 장관 '2+2 협의' 개최
트럼프 '8가지 비관세 부정행위' 방어 급선무
한덕수 권한대행 "한미 협력 출발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대구경북 지역 자동차부품업계가 오는 24일 열리는 한미 양국의 관세 협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2일 수입차 관세 발효에 이어 다음 달 3일 자동차부품 관세 발효를 앞두고 지역 자동차부품업계는 관세 협상에 명운이 걸렸기 때문이다. 재무·통상 장관 간 '2+2' 통상 협상이 무역 균형, 조선, LNG(액화천연가스)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자동차부품 분야에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1일 "24일 저녁 9시, 미국시간으로 오전 8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USTR(미국무역대표부) 대표와 '한미 2+2 통상 협의'를 개최한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경제안보전략TF 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한미 통상) 협의를 위해 경제부총리와 산업장관을 공동 수석대표로 하는 정부 합동 대표단이 미국 워싱턴 D.C.로 출발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양국의 통상 장관끼리 개별 협의도 진행할 예정인 만큼 한미 간 첫 회의가 의미 있는 협력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상호 관세와 별도로 구분된 자동차, 자동차부품 관세를 줄이거나 무효화하려면 정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상황이다. 특히 자동차부품 산업이 주력인 대구경북은 지난해 대구의 전체 자동차부품 수출액(11억7천만달러) 가운데 대미 수출액이 35.5%(4억1천700만달러), 경북은 대미 수출액(9억1천800만달러) 가운데 자동차부품 수출액(15억2천만달러)이 전체 60%를 차지하는 등 지역 최우선 현안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언급한 '8가지 비관세 부정행위'에 대한 주장도 방어해야 한다. 첫 번째 부정행위로 꼽은 '환율 조작'의 경우 현재 한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타깃에서 벗어나 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지만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외견상 '원화 약세'가 부각되고 있어 외환 당국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손수석 경일대 국제통상학전공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비관세 장벽을 중요한 조건으로 고려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미 정부는 환율 조작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데 현재 타깃은 중국의 위안화, 일본의 엔화이지만 우리도 환율 안정화를 위한 조치가 과한 것은 아닌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 이 밖에 기술·환경 규제와 농업 분야 수출 규제도 협상의 여지가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