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봉화 영풍석포제련소, 올해 국정감사는 비켜 가나

입력 2021-10-05 15:04:14

최근 수년간 단골로 국감 증인으로 출석했으나 올해는 '잠잠'
지역사회와 소통·사회공헌 나서고 무방류시스템 도입하기도

경북 봉화 영풍석포제련소 내에 설치된 무방류시스템 설비 모습. 석포제련소 제공
경북 봉화 영풍석포제련소 내에 설치된 무방류시스템 설비 모습. 석포제련소 제공

국회 국정감사 단골 손님이었던 경북 봉화 영풍석포제련소가 올해는 논란의 중심에서 비켜갈 분위기다. 소관 상임위가 제련소 관계자에 대한 증인 출석 요구 등 움직임을 아직 보이지 않고 있어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5일 환경부를 시작으로 이달 21일까지 모두 75개 기관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한다. 이를 위해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명단을 정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전날까지 정리된 증인·참고인 출석요구 명단에 제련소 관계자 등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수년간 이강인 영풍석포제련소 대표는 국회에 국정감사 증인으로 자주 이름을 올렸다. 2018년에는 이 대표가 직접 증인으로 참석했고 2019년과 지난해에는 배상윤 석포제련소 전무가 대신 출석했다.

이는 석포제련소가 낙동강 상류 일대 오염의 주된 원인이라는 지적을 지속해서 받아왔기 때문이다. 2018년과 2019년에는 물환경보전법 등 위반으로 경북도로부터 각각 조업정지 20일, 2개월의 행정처분을 받기도 했다.

지역 환경단체들은 낙동상 상류 청정지역에 있는 석포제련소를 폐쇄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내고 있다.

하지만 올해 국감 이슈로 부상하지 않으면서 증인 채택도 이뤄지지 않을 것이 유력한 상황이다.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 새롭게 불거진 오염 이슈가 없는 데다 그간 제련소 측이 환경 논란에 대해 사과하고 낙동강 상류 수질오염 '제로(0)' 실현을 위해 노력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강인 대표는 올해 초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제련소가 가진 환경오염 요소를 최소화해 친환경 공장으로 변신하려고 한다"고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실제 올해들어 공장 내부 오염 지하수가 낙동강 수계로 침출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지하수 차집시설 공사에 들어갔고 폐수 무방류 시스템 도입·가동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다만 2차례의 조업정지 처분을 두고는 이를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해 경북도와 법정 공방을 벌이고 있다.

조업정지 20일 처분과 관련, 1심에서 패소했던 제련소 측은 항소심에서 일부 승소해 절반 취소를 끌어냈지만 나머지 처분(10일)은 유효해 상고심을 이어가고 있다.

2개월의 조업정지 처분을 두고는 올해 1월 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했고 아직 1심 판결이 나지 않았다.